34년 전통 ‘판소리 다섯 바탕의 멋’, 전주 여름을 울린다

1일부터 5일까지, 우진문화공간서
다섯 유파 대표 명창 릴레이 무대

판소리다섯바탕의멋 포스터/사진=우진문화공간 

한국 전통 판소리의 진수를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무대가 올여름 전주를 찾는다. 제34회 ‘판소리 다섯 바탕의 멋’ 공연이 다음 달 1일부터 5일까지 닷새간 전주 우진문화공간 예술극장에서 개최된다.

우진문화재단이 주최하고 전북특별자치도가 후원하는 이번 공연은 판소리 다섯 마당(춘향가·심청가·흥보가·수궁가·적벽가)을 정통 유파를 대표하는 명창들이 하루 한 바탕씩 올리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1991년 첫 무대를 연 이래 30여 년 넘게 이어져 온 이 공연은 전통 판소리의 보존과 계승은 물론, 예술적 완성도를 갖춘 공연으로도 인정받아 왔다. 매해 여름 전주를 대표하는 전통예술 기획공연으로 꾸준히 관객들의 발길을 모으며, 귀명창들뿐 아니라 젊은 관객층까지 아우르는 문화 소통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올해 무대에는 동편제와 서편제, 보성소리, 동초제 등 각 유파의 특색이 뚜렷한 다섯 명창이 출연해 판소리의 깊이와 생명력을 전한다.

먼저 다음 달 1일 화요일 첫날 공연은 국립창극단 부수석 단원 유태평양이 미산제 흥보가로 막을 연다. 소리 신동으로 불리며 성장해온 유태평양은 담백하고 절제된 붙임새 속에서도 화려한 시김새를 살려내는 감각으로 주목받는 소리꾼이다. 특히 ‘가난타령’, ‘제비 다리 고쳐주는 대목’, ‘박 타는 대목’ 등 주요 장면에서 익살과 품격이 어우러진 흥보가의 미덕을 풍성하게 전할 예정이다.

둘째 날에는 연극과 창극, 창작 판소리까지 넘나드는 다재다능한 소리꾼 정은혜가 박초월제 수궁가를 무대에 올린다. 동편제 계열의 강한 고음과 유려한 구성미가 특징인 이 유파는, 토끼와 자라 등 동물 캐릭터의 의인화와 해학적인 요소가 어우러져 판소리 고유의 극적 즐거움을 배가시킨다. 약 1시간 35분간 이어지는 밀도 높은 구성은 정은혜의 개성 있는 소리 해석으로 생동감을 더할 예정이다.

3일에는 영화, 방송, 무대 등 다방면에서 활약 중인 이봉근이 박봉술제 적벽가를 들려준다. 남성적인 기백이 짙게 묻어나는 이 유파는 장쾌한 전투 장면과 강렬한 감정 표현이 특징으로, 이봉근 특유의 폭발적인 성량과 에너지 넘치는 소리가 무대를 장악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4일에는 고제(古制) 소리의 품격을 지닌 김세종제 춘향가가 민은경의 목소리를 통해 무대에 오른다. 보성소리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민은경은 맑고 단단한 음색에 뛰어난 연기력을 겸비해 섬세한 부침새와 성음의 조화를 아름답게 풀어낸다. 고전미 넘치는 춘향가의 정수를 오롯이 전하는 무대가 될 전망이다.

마지막 날인 5일 오후 2시에는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보유자 장문희가 동초제 심청가를 선보인다. 동초 김연수 명창의 계보를 잇는 장문희는 동초제 특유의 극적 구성과 음악적 완성도를 깊이 있게 펼쳐내며, 구조적 완성도와 표현의 섬세함이 조화를 이루는 동초제의 미학을 관객들에게 고스란히 전달할 예정이다.

이번 공연을 이끄는 김보라 우진문화재단 이사장은 “‘판소리 다섯 바탕의 멋’은 단순한 공연을 넘어 우리 소리의 뿌리를 지키고 미래로 이끄는 전승의 장”이라며 “세대와 시대를 아우르는 예술 소통의 장으로, 앞으로도 전주를 대표하는 전통공연으로 자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연은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오후 7시, 토요일은 오후 2시에 열린다. 전석 1만 원이며, 예매는 인터파크와 전주티켓박스를 통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