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북, 방산혁신클러스터 유치에 힘 모으자

전북자치도가 내년에 공모하는 방산 혁신클러스터 유치에 나섰다. 이를 위해 지난 30일 ‘전북국방벤처센터 협약기업협의회’를 출범시키고 방위산업을 지역 핵심사업으로 육성하는데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후발주자이지만 전북자치도와 시군, 대학, 기업, 정치권이 한팀을 이뤄 반드시 방산 혁신크러스터를 유치했으면 한다. 앞으로 방산분야는 전북의 중요한 미래 먹거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는 출범과 함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4대 성장 엔진’ 전략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방위산업, K-콘텐츠, 반도체 분야 등 4개 섹터가 대표적인 성장 축이다. 이번 전략은 국가 시스템 차원에서의 구조적 ‘산업 대전환’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목표다. 이 가운데 방위산업은 이 대통령이 국가대표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글로벌 4대 방산 강국 진입울 선언한 것이다. 현재 약 2% 수준인 K-방산의 세계 무기 수출 점유율을 4~5%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이에 발맞춰 전북자치도도 국가전략산업으로 부상한 방위산업을 탄소섬유, 수소, 이차전지 등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키로 했다. 특히 전북이 주목하는 분야는 ‘탄소소재 방산’이다. 전주는 국내 유일의 T-1000급 탄소섬유 생산지로, 이차전지 특화단지와 수소시범도시 지정 등과 맞물려 무기 경량화, 방탄소재, 수소연료 군용차량 등 첨단 방산기술과의 융합 가능성이 높다. 이같은 전략은 전북만이 지닌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전북은 인프라 측면에서 열세가 뚜렷하다. 현재 방위사업청에 등록된 방산체계기업 수는 전국 83개 가운데 전북이 4개에 불과하다. 또 전북을 제외한 전국 6곳에 국방특화연구센터가 위치해 있다. 관련 산업 매출 또한 경남의 0.8% 수준에 그치는 등 후발주자의 한계를 갖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협력기반을 확보하는 게 급선무다. 방산 생태계의 자생력을 높이고 기업 간 연대를 강화하는 일이다. 이것을 바탕으로 2026년 4월 공모 예정인 ‘방산혁신클러스터’ 유치를 본격 추진해야 한다. 방산혁신 클러스터는 2020년 경남 창원, 2022년 대전(드론 특화), 2023년 경북 구미(유무인 복합체계)가 각각 선정된 바 있다. 전북자치도는 총력을 기울여 이 사업을 유치해 전북의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