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이슬 대표 "'로컬 투 글로벌' 가치 실현 노력하겠다"

한복 애호가 모휘니 주한 캐나다 대사
G7 출국 때 한복 입고 이재명 대통령 배웅 화제
전주서 1인 기업으로 시작한 캐주얼 한복 '리슬' 제품
황 대표 "한복 대중화 위해 걸어온 길 헛되지 않아"

황이슬 대표/사진=리슬 제공 

최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캐나다로 출국하는 이재명 대통령을 배웅하던 은발 외국인 여성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됐다. 서양식 정장을 입은 사람들 사이에서 홀로 감색 두루마기 한복을 입어 눈길을 사로잡았다. 주인공은 타마라 모휘니 주한 캐나다 대사. 평소 한복 애호가로 알려진 그가 선택한 한복은 캐주얼 한복 브랜드 ‘리슬(Leesle)’의 제품이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환송 나온 타마라 모휘니 주한 캐나다 대사와 인사하고 있다. 2025.6.16 성남=연합뉴스

전주에서 1인 기업으로 시작해 패션의 고장 밀라노까지 진출하며 ‘한복’의 세계화에 앞장서고 있는 리슬의 황이슬 대표와 지난 2일 서면 인터뷰를 가졌다. 오는 9월 뉴욕패션위크 참석으로 한창 바쁜 시기를 보내고 있다는 그에게 이번 소식은 “19년간 한복 대중화를 위해 걸어온 길이 헛되지 않았다”는 격려와 응원처럼 느껴졌다고 했다. 

황 대표가 2014년 만든 캐주얼 한복 브랜드 ‘리슬’은 편견과 싸우며 성장했다. ‘전통을 훼손 한다’‘ 근본 없는 옷이다’와 같은 날 선 비판과 편견을 깨기 위해 실용성과 예술성을 결합한 디자인 구현에 집중했다. 예쁘면서도 자주 입을 수 있는 옷 제작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저는 ‘자주 입는 옷이 좋은 옷이다’라는 확고한 철학으로 한복을 디자인 해왔어요. 그리고 철학을 실현하기 위해 스스로가 한복의 헤비유저가 됐죠. 매일 한복을 입고 생활하면서 느끼는 것들을 디자인에 반영했죠.”

대표는 세탁이 편한 소재, 다림질을 최소화하는 구조, 활동성이 보장되는 디자인 등 입는 사람의 관점에서 모든 것을 생각했다. 박물관에 전시되거나 장롱 속에 잠들어 있는 옷이 아니라, 일상에서 계속 손이 가고 입을 때마다 행복과 자신감을 주는 옷을 만들고 싶어서였다. 

이렇게 만든 옷은 방탄소년단(BTS), 김태리, 마마무 등 유명 방송인들이 입으면서 입소문을 탔다. 이제는 국내 판매 못지않게 수출도 한다. 현재는 해외 매출 비중이 전체의 7~8% 수준에 불과하지만, 올해 9월 뉴욕 패션위크 참가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세계시장 공략에 나서겠다는 구상도 세웠다. 

그는 “존중을 담은 실용성과 경계를 넘나드는 디자인으로 ‘리슬’이라는 브랜드가 많은 분들에게 사랑을 받은 것 같다”며 “이제는 한복을 파는 브랜드를 넘어 ‘코리안 시크’라는 새로운 패션 장르를 개척해 나갈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그의 목표는 ‘로컬 투 글로벌(Local to Global)’이라는 가치를 실현하는 브랜드로 성장하는 것이다. 지금의 자신을 만든 자양분은 모두 ‘전주’에 있기에, 전주라는 가장 한국적인 도시를 바탕으로 계속해서 성장하고 발전하겠다고 다짐했다.

“가장 나다운 것,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인 무기가 되는 시대라고 생각해요. 지역과 함께 성장하며 받은 사랑을 다시 되돌려줄 수 있는 브랜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