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김제에 산업단지 추가 확보…전북 산업용지 수급 '숨통'

익산 제3일반산단 확장·김제 지평선 제2산단 신규 조성
2026~2028년 완공 목표…자동차·기계·식품 등 주력 업종 유치
전북도 "기업 입주 수요 대응 위한 선제 조치...장기적인 관점서 추진할 것"

익산 제3일반산업단지 확장사업(왼쪽)과 김제 지평선 제2일반산업단지 신규 조성계획도./사진=전북도.

전북특별자치도가 익산과 김제에 대규모 산업단지를 추가 확보하면서, 도내 산업용지 수급 상황에 숨통이 트였다.

4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두 산업단지 모두 공영개발 방식으로 연내 착공을 목표로 하며 지역 제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중추 거점으로 기대를 모은다.

익산시는 삼기면·낭산면 일원에 위치한 제3일반산업단지를 27만㎡(약 8만여 평) 확장한다. 490억 원이 투입되며, 2026년까지 산업시설과 기반시설이 포함된 단지가 완공될 예정이다. 입주 업종은 화학제품, 기계 및 장비, 자동차 제조업 등으로 기존 단지와 연계한 시너지를 염두에 두고 설정됐다. 산업시설용지 외에도 완충녹지, 도로, 공원 등 쾌적한 근무환경을 고려한 설계가 눈에 띈다.

김제시는 상동동 45번지 일원에 지평선 제2일반산업단지를 새로 조성한다. 총 88만㎡(약 27만 평) 규모로, 2048억 원을 투입해 2028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기존 산업단지가 100% 분양된 가운데, 기업의 지속적인 입주 요청에 대응한 조치다. 식료품, 전자부품, 금속가공, 전기장비, 자동차 제조업 등 다양한 업종을 유치할 예정이며, 공원·파크골프장 등 정주 여건을 고려한 복합산단으로 개발된다.

도는 이번 두 단지 조성을 통해 도내 산업용지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기업의 입지 선택 폭을 넓힌다는 복안이다. 특히 장기적인 산업단지 수급 계획을 선제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외부 투자 기업의 유치 경쟁에서도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김인태 도 기업유치지원실장은 “산업단지는 조성에만 통상 7년 이상이 소요되는 장기사업”이라며 “기업 수요를 미리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용지를 확보하는 것이 지역경제 성장의 관건”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