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피지컬 AI 선점, 전북을 미래 산업기지로

정부의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지난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가운데 전북이 피지컬 인공지능(AI) 예산을 확보해 주목된다. 피지컬 AI는 최첨단 기술로 전북이 앞으로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피지컬 AI가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지난 1월 미국 CES 2025에서였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기조연설을 통해 피지컬 AI를 두고 "인지하고 계획하고 행동하는 AI"로 정의하며 생성형 AI를 넘어 산업 자동화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고 밝힌데서 비롯됐다. 이 같은 메시지는 산업계 전반에 일종의 전환 신호로 작용해 피지컬 AI 열풍을 몰고 왔다.

피지컬 AI는 단순 반복 작업에 머물렀던 기존 자동화와 달리 산업 현장의 불확실성과 돌발 변수에 실시간 대응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센서, 로봇, 사물인터넷(IoT), 엣지 디바이스 등과 연결돼 현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며 인간의 개입 없이도 장비와 공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한다. 미국, 중국, EU, 일본 등 주요국은 피지컬 AI를 국가 전략기술로 간주하고 선제적으로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새 정부도 AI 고속도로를 통해 한국을 ‘AI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2차 추경에 AI분야 예산 1793억원을 추가 확보했다. 여기에 피지컬 AI 핵심기술 실증(PoC)사업 예산 426억원이 포함됐다. 이중 229억원은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예결소위원장을 맡은 정동영 의원이 기획재정부와 과기부, 여야 예결위원들을 설득한 끝에 전주시 예산으로 최종 확보했다. 이 사업에는 현대차‧네이버‧리벨리온‧카이스트‧전북대‧성균관대‧전북특자도가 함께 참여한다. 앞으로 전북은 이 사업을 통해 피지컬AI 전략모델 수립, 플랫폼 설계, 기술검증 연구소 구축, 제조·의료 등 수요처 중심의 실증 공간 확보 기술 기반을 갖출 계획이다. 또 197억원은 경남대, 서울대, 구글클라우드 코리아, 경남테크노파크 등이 확보했다.

이번 사업비 확보를 기회로 전북의 낙후된 산업체계가 첨단으로 전환됐으면 한다. 나아가 지속가능한 예산 확보를 통해 전북이  ‘피지컬AI 실증 생태계의 핵심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