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항겪던 전주 재개발 사업, 정비사업 성공 롤모델로 부상

감나무골·기자촌 재개발, 한때 부동산 경기침체로 시공사 못 구해 10여년간 제동
전주시 적극적인 행정 지원, 전담부서 신설로 조합과의 수시 소통체계 구축 실효

전주 기자촌 정비사업 조감도. /전주 기자촌 재개발정비사업 조합 제공.

한때 지지부진했던 전주지역 재개발 사업이 기록적인 청약경쟁률을 보이며 전국적인 정비사업의 성공 롤 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그 배경에 전주시가 민선8기 들어 낙후된 원도심과 노후계획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개발·재건축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주민 중심의 정비사업 추진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8일 전주지역 정비사업계와 전주시 등에 따르면 인구 50만 이상 도시지역에서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이 신설되면서 전주지역에는 지난 2006년 16곳이 예비정비구역으로 지정돼 재개발 사업이 추진돼 왔다.

사업추기만 해도 주민들의 힘으로 낡고 허름한 주거환경을 개선해 경쟁력 있는 미래형 도시로 변화시킨다는 청사진을 내걸었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았다.

우선 예비정비 구역 지정부터 조합설립, 시공사 선정, 관리처분계획 인가 등 20여 단계가 넘는 복잡한 행절절차를 이행해야 하는 문제부터 걸림돌로 작용했다.

이 과정만 십수년이 걸리면서 갈등과 번목이 발생해 한때는 정다운 이웃이었던 조합원 들간의 법정소송으로 비화되기도 했다.

더 큰 문제는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예비 시공사로 선정해 수십억 원의 보증금까지 예치했던 시공사마저 발을 빼기 시작했고 사업추진에 제동이 걸렸다.

지난 해와 올해초 일반 분양에서 50대 1이 넘는 청약경쟁을 보였던 전주 감나무골과 기자촌 재개발사업도 조합 내부 갈등, 인허가 절차 지연, 시공사 선정 문제 등으로 인해 사업이 오랫동안 정체 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민선 8기 출범 이후, 전주시가 정비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여 주거환경을 신속히 개선하기 위해 ‘재개발재건축과’를 신설해 전담 공무원을 배치하고 행정절차를 신속히 처리하며, 조합과의 수시 소통체계 구축 등을 통해 본 사업의 재개를 전면적으로 뒷받침했다.

그 결과, 전주 감나무골은 사업추진 18년 만에 착공에 들어가 일반분양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했고 기자촌도 올해초 일반분양 성공 후 현재 기초공사 진행 중으로, 19년 만에 정비사업이 실질적인 건설 단계에 돌입하게 됐다.

전주 기자촌 재개발정비사업 노승곤 조합장은 “전주시의 적극적인 행정 지원 덕분에 기자촌 재개발사업은 단순한 아파트 신축을 넘어, 전주시 도심 정비의 상징적 사례가 됐다”며 “시의 전폭적인 행정 지원과 시민 중심의 정책 결정이 없었다면 오늘과 같은 진전을 이루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시의 도시 경쟁력을 올리고 지역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앞으로도 시의 일관된 정책적 지원이 이어지길 기대한다”며, “조합원 부담 최소화, 안전한 공사 진행, 입주민들에게 최고 품질 주거 환경 제공을 위해 향후에도 전주시와 긴밀히 협력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