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민 생계 걸린 상공에너지 매각…지역 정치권은 '강 건너 불구경'

매출 7조 거대 공기업 한국중부발전, 익산 상공에너지만 매각 추진
헐값 매각, 노조 색출, SRF(고형연료) 등 갖가지 논란 속에서도 강행
전북 홀대 지적, 이익 우선 매각 부당 주장…지역 정치권 역할론 대두

익산 용제동 ㈜상공에너지 입구./사진=송승욱 기자

속보=지역민 생계가 걸린 익산 ㈜상공에너지 매각이 갖가지 논란 속에서 강행되고 있는 가운데, 전북 정치권이 강 건너 불구경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기업이자 모회사인 한국중부발전(사장 이영조)은 현재 전국의 10여 개 사업장 중 전북 익산의 상공에너지만 매각을 추진 중이다.

경영 정상화가 그 명분인데, 지난해 기준 매출 7조 2329억 원, 영업이익 4813억 원을 기록한 거대 공기업이 지난해 영업손실이 26억 원에 불과한 전북 소재 자회사만을 대상으로 매각을 추진하고 있어 전북 홀대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상공에너지는 비싼 에너지 가격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기업들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에너지를 공급받기 위해 공동으로 출자해 설립됐다는 특수성을 갖고 있어, 지역 상황을 고려치 않은 일방통행식 매각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이재명 정부가 국가균형발전과 낙후지역 정책적 지원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지역 내 대표적인 에너지 기업을 이익을 우선하는 사모펀드에 매각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목소리에도 힘이 실린다.

게다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사모펀드의 입찰액이 매각 대상 주식가액의 10분의 1도 되지 않아 헐값 매각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이슈가 되고, 사측의 노조 색출 지시 주장에 이어 지역사회 내 심각한 갈등이 우려되는 SRF(고형연료) 변경 계획 등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정치권과 상공업계는 강 건너 불구경만 하고 있는 모양새다.

최근 국회 내 중책을 맡으며 익산의 든든한 버팀목이 될 것이라 기대를 모으고 있는 이춘석·한병도 국회의원은 아직까지 매각 관련 아무 입장을 내지 않고 있고, 지역 기업들의 입장을 대변해야 할 익산상공회의소 역시 사태를 주시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지역 상공업계 한 관계자는 “거대 공기업이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전북을 무시하는 것이라고밖에 볼 수 없는 사태 아니냐”며 “지역 정치권과 상공업계는 물론 지역사회 전체가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목소리를 내야 할 때”라고 토로했다.

이어 “이익을 좇는 사모펀드가 상공에너지를 인수하게 되면, 직원들 생계 위협은 물론 스팀 공급 비용이 올라 지역 기업들의 부담이 대폭 커질 것”이라며 “매각 주체가 공기업인 만큼 지역 정치권이 매각이 아닌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사측의 매각 추진에 대응해 최근 노동조합을 설립한 상공에너지 직원들은 근로계약 시 약속한 하계휴가비 2년 미지급, 퇴직연금 3년 미충당, 신입 직원 연봉 최저임금 위반 등을 문제 삼으며 지난 8일 고용노동부 익산지청에 진정서를 제출했으며, 사태 파악에 나선 한국노총 익산시지부는 조만간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