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업 "완주·전주 통합 찬성" 압도적⋯하지만 찬성 줄고 반대 늘어

전주상의, 2차례 걸쳐 전주·완주 지역 회원사 기업 통합 의견 조사
(찬성)완주 87.7%→76.3%·전주 89.8%→84.1%, "거점 광역도시 구축"
(반대)완주 12.3%→23.6%·전주 10.2%→15.9%, "독자 발전 저해 우려"
통합의 우선 과제로 "실질적 상생발전 약속이행 구체화" 꼽혀

사진제공/전주상의

전주상공회의소가 실시한 완주·전주 통합 관련 기업 설문조사에서 찬성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통합의 반대는 늘고 찬성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상의(회장 김정태)는 1차(2024년 10월 7일~29일, 271개 업체 응답)와 2차(6월 26일~7월 7일, 433개 업체 응답)로 나뉘어 기업 의견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완주 소재 기업들의 통합 찬성률은 1차 87.7%에서 2차 76.4%로 11.3%p 하락했다. 전주 소재 기업들 역시 1차 89.8%에서 2차 84.1%로 5.7%p 감소했다. 반면 반대 의견은 완주가 12.3%에서 23.6%로, 전주는 10.2%에서 15.9%로 각각 증가했다.

통합을 찬성하는 주요 이유로는 두 차례 조사 모두에서 '거점 광역도시 구축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1차 조사에서는 완주 18.8%, 전주 25.2%가 이를 꼽았고, 2차 조사에서는 완주 34.1%, 전주 36.5%로 더욱 높아졌다.

1차 조사에서는 완주 지역이 '낙후와 소멸위기 극복'과 '행정통합으로 운용비용절감'을 각각 17.7%로 두 번째 높은 찬성 이유로 꼽았다. 반면 전주는 '예산증가 및 복지증대(16.9%)'가 뒤를 이었다.

2차 조사에서는 완주와 전주 모두 '전북의 낙후와 소멸위기 극복(각각 18.9%·17.0%)', '통합에 따른 낙후 전북의 위상제고(15.2%·16.4%)' 순이었다.

반대 이유로는 1차 조사에서 완주는 '세금 부담 가중', '완주군 독자 발전 저해', '혐오시설 배치 우려', '전주로의 흡수통합으로 인한 소외', '예산·복지 감소'가 각각 18.2%로 고르게 분포했다. 전주는 '재정악화로 지원 감소'(25.0%)가 가장 높았다.

2차 조사에서는 '완주군 독자 발전 저해(완주 32.6%, 전주 30.1%)'와 '흡수통합으로 인한 소외(완주 17.4%, 전주 20.5%)'를 주요 우려 사항으로 지목했다.

통합 추진을 위한 우선 과제로는 1차 조사에서 완주는 '주민 통합 우려 해소'(29.0%)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고, 전주는 '실질적 약속 이행 구체화(23.3%)'를 제시했다.

2차 조사에서는 '실질적 약속 이행 구체화'(완주 41.5%·전주 34.6%)가 1순위였다. 이어 '자치단체 간 신뢰 구축'이 완주 22.8%, 전주 24.9%로 조사됐다.

김정태 회장은 "이번 조사는 순수하게 기업들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며 "정치적이 아닌 경제적 판단에 근거해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접근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