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자연의 똑똑한 순환

1. 주제 다가서기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떨어진 낙엽, 말라버린 꽃잎, 동물의 똥, 썩은 열매 같은 것들이 보입니다. 이런 것들을 우리는 보통 ‘쓰레기’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그런데 자연은 이런 것들을 어떻게 처리할까요? 

자연에서는 이 모든 것이 ‘쓸모 있는 자원’입니다. 곰팡이와 미생물, 지렁이와 같은 생물들이 나뭇잎과 동물의 배설물을 천천히 분해해 흙으로 만들고, 이 흙은 다시 새로운 식물들이 자라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즉, 자연은 스스로 깨끗하게 정리하면서도 생명을 이어가는 ‘똑똑한 순환’을 하고 있는 셈입니다.

반면, 인간이 만들어 내는 쓰레기는 자연처럼 저절로 사라지지 않습니다. 플라스틱, 캔, 음식물 쓰레기 등은 따로 모아야 하고, 잘못 버리면 환경을 오염시키기도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분리배출’을 하고, ‘재활용’을 하며, 때로는 ‘소각’이나 ‘매립’ 같은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요.

이번 시간에는 자연의 분해 작용과 인간의 쓰레기 처리 방식을 비교해 보며, 자연이 어떻게 스스로를 정화하고 순환시키는지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자연의 방식을 어떻게 배울 수 있을지도 함께 생각해 봅시다.

▫ 용어 정의하기

순환 : 어떤 것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면서 계속 반복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나뭇잎이 떨어져 썩고 흙이 되어 다시 나무가 자라는 것처럼 자연에서 일어나는 반복되는 흐름을 ‘순환’이라고 합니다.

자원 : 우리가 쓸 수 있는 자연의 물건이나 에너지를 말합니다. 물, 나무, 햇빛, 바람, 흙 같은 것들이 자원입니다. 쓰레기도 잘 활용하면 새로운 자원이 될 수 있습니다.

분해 : 생물이나 미생물 등이 죽은 생물이나 쓰레기 같은 것을 잘게 부수어 흙으로 만드는 과정을 말합니다. 예: 지렁이나 곰팡이가 낙엽을 분해해 흙으로 만드는 것.

소각 : 쓰레기를 불에 태워서 없애는 방법입니다. 냄새나 연기가 날 수 있고, 공기를 더럽힐 수도 있습니다.

매립 : 땅에 큰 구덩이를 파고 쓰레기를 묻어 없애는 방법입니다.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오랫동안 썩지 않는 쓰레기는 땅을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 자연의 방식과 인간의 방식 예상해보기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아래의 퀴즈에 답해 봅시다. 옮은 문장에는 0 틀린 문장에는  x 표시를 해 보세요. 

자연에서는 낙엽, 동물의 똥, 죽은 생물들이 저절로 흙으로 바뀌는 순환이 일어난다. (   )

인간은 쓰레기를 모두 땅에 묻거나 강에 버려서 처리한다. (   )

곰팡이, 세균, 지렁이 같은 생물들이 자연의 쓰레기를 분해해 흙으로 만든다. (   )

소각은 쓰레기를 물로 씻어 없애는 방법이다. (   )

인간의 쓰레기 처리 방법 중 하나는 불에 태우는 ‘소각’이고, 또 다른 방법은 ‘매립’이다. (  )

자연에서는 플라스틱 쓰레기도 빠르게 분해되어 흙이 된다. (   )

자연은 쓰레기를 자원으로 활용하지만, 인간은 아직 모든 쓰레기를 그렇게 사용하지 못한다. (   )

-정답은 다음 지면의 하단에 있습니다.-

 

2. 신문 읽기

자연의 똑똑한 순환

글: 멜라니 라이블, 그림: 릴리 리히터

자연에는 쓰레기가 없어요. 땅에서든 물에서든 하늘에서든, 자연은 쓰레기로 버려지는 것들을 간절히 기다려요. 쓰레기는 수많은 동물과 식물이 먹는 음식이에요. 먹고 남은 쓰레기를 다른 생물들이 또 먹어요. 이렇게 모든 건 순환의 일부가 되어 아주 작은 찌꺼기까지 사용된답니다. 

특히 숲에서 이 과정을 잘 관찰할 수 있어요. 숲에서는 사계절이 흐르는 동안 아주 많은 것이 바닥에 떨어져요. 죽은 나무, 썩은 나뭇가지, 나무껍질, 마른 나뭇잎, 솔방울, 밤이나 도토리 같은 나무 열매들이죠. 동물의 똥과 사체도 당연히 있어요. 그러면 숲속 바닥은 이런 것들로 뒤덮여 몇 미터나 높아져야 말이 되겠지요. 하지만 그렇지가 않아요! 숲은 스스로 청소를 하기 때문이에요. 그럴 땐 ‘앞으로 먹고 뒤로 내보낸다’는 원칙을 따른답니다. 멧돼지와 오소리와 여우는 굵직한 작업을 담당하고, 곰팡이와 세균 같은 미생물들은 마무리를 책임져요. 모든 게 하나씩 천천히 소화되어 부스러진 뒤 흙으로 변해요. 이 과정을 ‘분해’라고 부르죠. 분해의 결과 만들어진 흙이 부엽토예요. 부엽토는 영양소가 풍부하고 식물이 자라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검은 황금’이라고 불러요. 

과일밭도 봄에는 놀라울 만큼 질서 정연하지만, 가을에는 사과와 배 같은 열매들이 무더기로 땅에 떨어져요. 시간이 흐르면 떨어진 과일과 열매들은 썩거나 곰팡이가 피어요. 미생물이 벌써 일을 시작해 떨어진 과일들을 부엽토로 만들고 있다는 신호지요. 순환은 이런 식으로 끊임없이 계속되고 또 계속된답니다.

출처: 쓰레기에 관한 쓸데 있는 이야기/ 멜라니 라이블 지음|릴리 리히터 그림|이기숙 옮김|씨드북|

-자연에서의 ‘분해’ 과정을 간단히 설명해 보세요.

 

-자연에서 사과나 낙엽이 땅에 떨어져도 몇 미터씩 쌓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앞으로 먹고 뒤로 내보낸다’는 원칙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읽기자료2>

보이지 않는 조그만 일꾼들

“이게 말로만 듣던 솔방울털버섯이구나!”

올해 6월, 특별한 버섯을 보기 위해 제주도 사려니숲길을 찾았습니다. 사려니숲길에서 다른 버섯을 촬영하기 위해 땅바닥에 엎드려 있었는데, 앞쪽의 솔방울에 웬 털 난 버섯이 불쑥 자라 있더라고요. 바로 솔방울털버섯이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저처럼 버섯을 잘 찾을 수 있냐고요? 지금부터 그 비결을 알려드릴게요.

여러분이 만약 어떤 생명체라면 어떤 환경에 있고 싶으신가요? 아마 먹을거리가 풍부하고 환경이 좋은 곳에서 살고 싶을 것입니다. 동물, 식물, 그리고 버섯을 비롯한 곰팡이까지. 살아있는 모든 생명은 더 나은 환경과 풍부한 영양원을 얻기 위해 지금도 거친 자연 속에서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군류에 속하는 버섯은 같은 군류에 속하는 곰팡이들과 마찬가지로 어둡고 축축한 환경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버섯애호가들은 숲속에 쓰러져 있는 고사목만 보면 가슴이 두근거릴 수밖에 없어요. 축축한 물가의 낙엽을 뒤적거리다 보면, 낙엽을 분해하고 있는 아주 작은, 좁쌀 반쪽만 한 버섯들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산짐승의 똥도 주의 깊게 관찰합니다. 자갈버섯은 산짐승의 똥을 좋아해서 산짐승의 화장실에서 자주 발견되거든요. 버섯 찾기는 이렇게 숲을 음미하는 일이에요. 숲의 소리에 귀 기울이다 보면, 어느새 아름다운 버섯들이 하나둘씩 눈에 띄기 시작할 거예요.

야생 버섯은 썩어가는 나무, 부엽토, 나뭇잎 또는 나뭇가지, 똥과 같은 자연 속의 찌꺼기인 부산물을 분해하면서 영양분을 섭취한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버섯은 숲속에 있는 나뭇잎과 나무들을 비롯한 여러 유기물질이 다시 흙으로 돌아가게 만들며 생태계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죠. 버섯이 없었다면 숲은 나뭇잎과 죽은 나무로 가득 차 있었을 거예요. 그래서 버섯을 두고 생태계의 분해자 또는 환원자라는 표현을 해요. 이런 역할을 하는 버섯들을 ‘부생균’이라고 합니다.

더욱 흥미로운 건, 버섯이 환원자 역할만 하는 건 아니란 사실이에요. 어떤 버섯들은 나무가 더욱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직접적인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그 도움의 대가로 버섯은 나무로부터 영양분을 얻죠. 나무와 버섯은 서로를 돕는 상리 공생 관계예요. 이런 버섯을 ‘공생균’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버섯에는 공생균뿐만 아니라, 생물에 기생하며 영양분을 가로채는 무시무시한 ‘기생균’도 있지요. 즉, 버섯의 세계는 부생균, 공생균, 기생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버섯. 아름답고 귀여운데 숲속에서 중요한 역할까지 담당한다니, 이 얼마나 기특한 녀석들인가요?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24호. 박상영·박동현

- ‘버섯’의 역할에 대해 알게 된 내용을 작성해 보세요.

 

- ‘버섯’이 주로 어둡고 축축한 곳에 사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부생균, 공생균, 기생균의 역할을 정리해 보세요.

부생균  
공생균  
기생균  

 

<읽기자료3>

인간의 쓰레기는 어디로 갈까요?

사진출처 : 환경부, 2023

우리가 매일 쓰고 버리는 비닐봉지, 과자봉지, 음식물 쓰레기, 종이컵, 플라스틱은 어디로 갈까요? 사람들은 자연처럼 스스로 정리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쓰레기를 따로 처리해야 합니다. 위의 표는 사람들이 버린 생활 쓰레기를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색깔별로 쓰레기 처리 방법이 다릅니다. 파란색은 ‘재활용’입니다. 다시 쓸 수 있도록 분리해서 모은 쓰레기예요. 연두색은 ‘에너지 회수’로, 쓰레기를 태워서 전기나 열을 얻는 방법입니다. 주황색은 ‘소각’, 즉 그냥 불에 태워 없애는 방식입니다. 빨간색은 ‘매립’, 즉 땅에 묻는 방법입니다. 표를 보면 서울과 경기 지역은 재활용도 많이 하지만, 소각과 매립의 양도 많습니다. 특히 인구가 적은 비수도권 지역은 아직도 많은 양을 그냥 땅에 묻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는 더 이상 묻을 곳이 없어요

사진출처 : 인천광역시, 2023

서울처럼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지역에서는 쓰레기가 너무 많아서 스스로 처리하지 못하는 일이 생깁니다. 그래서 지금까지는 인천에 있는 ‘수도권 매립지’에 쓰레기를 보내서 묻어 왔습니다. 하지만 이제 인천도 말합니다. “이제는 더 이상 버릴 곳이 없습니다.” 위의 사진처럼, 쓰레기가 절벽 끝까지 쌓여 있는 모습을 보면 우리에게 경고를 보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2025년이면 수도권 매립지도 문을 닫게 됩니다. 더 이상 쓰레기를 그냥 묻는 방식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이지요.

-인간이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대해 작성해 보세요.

 

-매립지가 부족해지는 원인과 해결방안을 생각해 보세요. 

 

3. 생각 열기

-인간이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과 자연의 방식의 예를 들어보고, 각 방식이 인간과 자연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해보세요.

  처리방식 사례 인간과 자연에게 

미치는 영향

자연      
인간      

 

4. 활동하기

“자연과 인간의 쓰레기 처리 방식 비교 카드뉴스 만들기”

활동목표

-자연과 인간의 쓰레기 처리 방식의 차이를 비교하고 설명할 수 있다.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알고, 해결을 위한 주장을 카드뉴스에 담아 표현할 수 있다.

-Canva를 활용하여 정보와 의견을 시각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1단계: 내용 이해 및 비교 정리 

 

-읽기 활동    

NIE 자료(자연의 순환, 인간의 처리 방식, 매립지 위기 등)를 읽는다.

-비교 정리    

● 표로 정리: 자연 vs 인간 쓰레기 처리 방식 (분해 vs 소각·매립·재활용)

● 장단점 나누기 “왜 인간은 자연처럼 순환하지 못할까?”,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쓰레기를 처리해야 할까?” 생각 나누기

 

 

-2단계: 카드뉴스 기획하기 

 

● 슬라이드 수 제안: 5장   ●활용 매채 : canva, 파워포인트 등

 

● 구성 예시: 주제 소개, 자연의 방식, 인간의 방식, 비교, 문제점, 주장

● 작성 방안

 1. 문구 쓰기 : 각 슬라이드에 넣을 내용을 짧고 강하게 써보기

 2. 시각 요소 계획 : 어떤 사진, 아이콘, 색을 쓸지 구상 

    (예: 자연은 초록 계열, 인간은 회색·빨강 등 대비 사용)

 3. 독자와의 관계 고려하기

    (강하게 요구할 것인가? 아니면 객관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것인가?)

 4. 배치를 통한 의미 전달 고려하기

    (문구와 시각 요소의 배치를 바꿔보며 효과적인 의미 전달 방법 찾아보기)

-3단계: 카드뉴스 제작하기

슬라이드 문구 시각요소 음성·영상 등
주제 소개      
자연의 방식      
인간의 방식      
문제점      
주장      

 

퀴즈 정답 : o x o x o x o

 

/전주한들초등학교 최재민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