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의 반도체 만든다”…전북도, 스마트팜 전국 선도

시설온실 스마트화 비율 21%… 전국 평균보다 5%P 앞서
2029년까지 40% 달성 목표… 대규모 임대형 단지 8곳 추진
수직농장·창업사다리로 청년 유입… 농업혁신 가속도

장수군 임대형 스마트 수직농장 모습./사진=전북도.

전북특별자치도가 전국 평균을 웃도는 스마트팜 보급률을 바탕으로,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고 있다.

22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도내 시설온실 중 스마트팜 비중은 21%(1110ha)로, 전국 평균16%(8200ha)보다 5%p 높다. 도는 2029년까지 이 비율을 4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전북도 농업정책의 핵심은 ‘스마트팜 다이아벨트’ 구축이다. 도는 김제 혁신밸리를 시작으로 무주, 진안, 장수, 남원, 고창 등지에 8개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 중이다. 전체 면적은 32ha, 총사업비는 2165억 원 규모다. 특히 지난 6월 장수에 준공된 유리온실 스마트팜에는 청년농들이 입주해 토마토 재배를 시작했다.

전국 최초의 공공형 수직농장도 주목받고 있다. 장수에 들어선 이 시설은 밀폐형 공간에서 ICT로 생육환경을 제어해 연중 안정적인 작물 생산이 가능하다. CJ제일제당이 기술과 유통을 지원하는 민관 협력 모델로, 청년농 6명이 시범 운영 중이다.

아울러 도는 스마트농업 창업 사다리도 전국에서 유일하게 갖췄다. 교육(혁신밸리)에서부터 임대형 스마트팜, 청년창업 패키지 지원으로 이어지는 3단계 체계다. 오는 2027년까지 총 100개소, 30ha의 청년 스마트팜을 지원할 방침이다.

민선식 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스마트농업은 고령화와 인구소멸로 위기에 놓인 농업의 돌파구”라며 “전북이 농생명산업 수도를 넘어 대한민국 스마트농업을 이끄는 중심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