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많지만 가장 중요한 특징은 ‘기록’이 된다는 것이다. 필름 위에 실재를 얹은 사진은 그 자체가 역사로 남겨진다.
사진가 허성철은 이 같은 기록매체로서 사진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왔다. 10여 년 동안 전북일보 사진 기자로 전북 전역을 훑었고 신문사를 그만둔 이후에도 새만금과 전주 개발 현장을 발로 뛰며 순간을 포착해왔다.
그렇게 수십 년 동안 한 겹씩 실재를 쌓아 올린 그가 이번에는 자신의 손주를 프레임에 담았다. 오는 8월 3일까지 청목미술관에서 열리는 개인전 ‘가족~은채 My Family~Eun Chae’는 그의 열다섯 번째 개인전이자 두 번째 가족 전시이다.
이번 전시는 작가의 손녀 ‘허은채’의 세 돌을 맞아 성장 과정을 기록한 사진 62점으로 채워진다. 태어난 순간부터 시간을 따라가며 한 사람의 탄생과 성장을 가족의 맥락 속에서 바라보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특히 은채의 사진과 같은 시기의 엄마와 아빠의 유년 시절을 함께 병치해 세대를 관통하는 유사성과 닮음의 흐름을 한 화면 안에 담아냈다. 여기에 작가 본인의 사진도 덧대지면서 ‘가족’이라는 삶의 공동체가 어떻게 시간을 통과하고 관계를 잇는지 따뜻한 시선으로 풀어낸다.
허 작가는 이번 전시에 대해 “할아버지의 시선으로 기록한 손녀의 기록사진이면서 먼 훗날 손녀가 자신의 아이를 키울 때 할아버지, 할머니와 함께한 시절을 기억해주길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고 소개했다.
경희대 언론정보대학원에서 다큐멘터리 사진을 전공한 작가는 ‘전주를 기록하다’라는 타이틀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전주가 개발되어 변해가는 모습을 기록해 전시와 함께 3권의 책자를 발간했다. 지난해 전주시 예술상을 받았다. 전북대와 예원대, 건양대 등에 출강했으며 현재는 사진과 페인팅, 포토샵을 이용한 포토페인팅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