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현장 흔드는 정치적 개입 중단해야”…전북 14개 시군 학교운영위원장협 성명

전교조 등 전북 교육정책 비판에 대한 입장밝혀

전북교육의 가장 큰 학부모단체인 전북 14개 시군 학교운영위원장협의회가 현재의 전북교육 정책 틀을 바꾸려는 일부 교원·사회단체들에 대해 사실상 경고장을 날렸다.

내년 교육감 선거에 출마할 후보 및 전교조 전북지부 등 일부 교원·사회단체들이 연일 전북교육 정책 비판에 화력을 집중하는 모습을 ‘정치적 행위’로 간주한 것으로 보인다.

전북특별자치도 학교운영위원장협의회 일동은 22일 “교육은 아이들의 권리를 지키는 일이지, 정치적 논쟁의 수단이 아니다”면서 “학교현장을 흔드는 어떠한 정치적 개입도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 전북교육은 개인이나 세력의 이해관계로 좌우되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전북교육청이 교육감 궐위로 권한대행체제로 전환된 지금, 전북교육의 방향성과 일관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교육계 안팎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며 “이러한 혼란 속에서 가장 큰 피해자는 다름 아닌 우리 아이들”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교육행정의 불확실성은 곧 학교현장과 학부모의 불신으로 이어진다”며 “학생들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정된 교육환경이 필요하기에 전북교육청은 학부모가 믿고 맡길 수 있는 예측 가능한 정책과 연속성 있는 행정을 책임져야 한다”고 했다.

또한 “교사는 수업에만 집중할 수 있어야 하는데 교사의 혼란은 교실의 혼란으로 직결된다”며 “자주 바뀌는 정책 속에서 교사는 수업에 전념하기 어렵고, 그 피해는 결국 학생에게 돌아간다. 안정된 교육환경이야말로 아이들이 웃을 수 있는 교실의 시작”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내년 교육감 출마 후보군인 노병섭 새길을 여는 참교육포럼 대표는 최근 “선거법 위반으로 낙마해 정치적·도덕적 정당성을 상실한 전임 교육감의 정책을 계승하겠다는 점에서 매우 부적절하며 비상식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전교조 전북지부 역시 “지난 3년의 서거석 교육감 체제는 불통과 독단으로 일관했다. 교사는 배제됐고, 정책은 일방적인 추진과 보여주기에 치우쳤다”며 연일 기자회견을 열고 전북교육 정책 비판에 집중하고 있다. 전교조 등과 뜻을 같이하는 교육단체들도  가칭 전북교육발전위원회를 구성해 교육정책의 틀을 새로 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전북학교운영위원장협의회는 “교육의 주체인 19만 학생들이 전북교육의 혼란으로 피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학생의 학습권은 반드시 보호되어야 한다”며 “전북교육은 기초학력 보장, 미래교육 강화 등 다양한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 왔는데 이러한 정책이 갑작스럽게 흔들린다면, 가장 먼저 무너지는 것은 아이들의 배움”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이날 성명에는 전북협의회를 포함해 전주·군산·익산·정읍·남원·김제·완주·진안·무주·장수·임실·순창·부안·고창협의회 등 14개 시군협의회 전체가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