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지도를 바꾸는 장엄한 새만금사업을 총괄하는 개발청장에 일곱 번의 청장이 바뀌면서 군산 인물이 처음으로 부임했다. 27만 군산시민과 더불어 전북 특별자치도 도민의 열열한 환영 속에 김의겸(62) 전 국회의원이 새만금개발청장에 발탁, 기용되면서 21일 취임식을 거행했다. 지난 2013년 새만금특별법 제정에 따라 새만금개발청으로 발족하면서 차관급 청장이 대통령 발령을 받게 된다. 초대에서 6대에 이르기까지는 다른 지역 출신들이 새만금사업을 총괄해 왔으나 뒤늦게나마 이재명 정부가 들어서면서 군산에서 금광초등학교(23회), 군산남중학교(28회), 군산 제일고등학교,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한 김 청장이 제7대 새만금개발청장으로 온 것이다. 유일한 군산 출신이다.
김 청장은 21일 취임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인사 기조에 따라 새만금을 RE100 중심으로 국가산단을 육성하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고향에 가서 열심히 일하라는 대통령의 뜻이 담긴 임명이라 여겨지며 가슴이 벅차고 어깨는 무겁다”고 소회를 밝혔다. 특히 “시대의 흐름에 따라 에너지 대전환시대에 새만금을 재생에너지 메카로 성장시키겠다”고 역설한 김 청장은 “개발만으로는 부족하며 해수유통, 생태계복원 등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데에도 각별한 관심을 갖겠다“고 말했다. 이러함은 새만금개발에 따른 모든 사업이 자연과 조합을 이루며 새만금의 지향성 건설이 이루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김 청장의 획기적인 새만금 이상향의 기초적 작업이 전개되리라고 본다.
이러한 김 청장의 취임사는 앞으로 해야 할 방향을 재빨리 제시하는 것은 언론인(한겨레신문 사회부장, 논설위원) 출신으로 갈고 닦은 예리한 판단력, 청와대 대변인, 국정을 담당하는 국회의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와의 연계성 등에 대해 사실에 기초한 정무적 판단력이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사업 진행에 최선을 다할 것으로 전망되며 군산과 전북에 희망의 메시지가 아닌가 싶다.
그러나 군산시민들은 그동안 제방관할권, 남북로 관할권 등으로 군산, 김제, 부안 등 3시 군의 갈등은 지금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 그런가 하면 1백 년 하고도 4반세기가 넘는 군산항 명칭이 군산항이라는 이름은 사라지고 새만금 항으로 명명함에 따라 군산항의 정체성은 어디로 가는 것인가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어떻게 설명이 될지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렇듯 새만금개발사업은 시시비비가 가려질 날이 언제쯤 올지 학수고대하고 있다. 그러나 비관적인 것만이 아니라 낙관적인 면도 없지 않다. 문제는 이재명 정부가 탄생하면서 전북의 정치권은 대통령실, 내각, 국회 지도부 등 국토부 등 4부 장관, 예산결산 특별위원장 등 3 위원장, 무려 20여 명이 포진하고 있다. 절호의 기회다. 문제는 군산, 김제, 부안 등 3개 지역이 메가시티의 새만금 특별자치지역으로 통합하는 길을 찾아볼 수도 있다. 새만금사업 가운데 RE100 산업단지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재생에너지 메카가 탄생하도록 하는 뒷받침할 3시 군 통합이 배경하면 전북특별자치도 서부지역에 거대발전의 축이 이루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전북 발전의 최대과업이다. 이에 수반하여 새만금국제공항건설도 대폭 주행거리 등 확장하여 국제공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말뿐인 정치권의 새만금사업이 아니라 이재명 정부에서 전북 인재 등용은 물론, 김의겸 청장을 임명한 것은 최대의 호기로 받아들여진다. 새만금사업은 한반도 역사창조의 최대 국가사업이다.
김철규 전 전북도의회 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