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땅에서 태어난 고승(高僧)들의 삶과 사상을 정리한 첫 향토학 시리즈가 발간됐다.
(사)전라정신연구원은 향토문화 복원과 지역 정체성 회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전라정신 향토학 시리즈’의 첫 번째 권으로 <남원의 고승>을 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책은 고대부터 통일신라, 고려,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남원에서 태어나 불교계는 물론 정치·사회적으로도 깊은 영향력을 발휘했던 고승 14인의 행적을 담고 있다. 특히 그동안 지역의 사상사와 불교사를 통합적으로 조망한 작업이 드물었던 점에서 주목된다.
연구원은 이번 저술에 앞서 고승의 범위를 규정하기 위해 세 가지 전제를 설정했다. 첫째, 본관이 남원이거나 부계 또는 모계가 남원에 연고를 둔 인물, 둘째, 대방군(帶方郡) 또는 용성(龍城)에서 출생했거나 본관으로 둔 인물, 셋째, 고려시대 봉작 명칭이 ‘대방공’으로 내려진 경우도 지명적 연고에 따라 남원 출신으로 분류했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선별된 고승은 법경대사, 원각국사, 현오국사, 원오국사, 부휴선수, 백암성총, 남악태우, 용담조관, 회계휘종, 용운처익, 통허치성, 용성진종, 구산수연 등 14인이다. 이 가운데는 묘지명 등을 통해 확인된 고승도 포함됐다.
김인술 전라정신연구원장은 발간사를 통해 “우리 고향에는 위대한 고승들이 많이 탄생했지만 아직까지 누구도 정리하는 작업을 못했다”며 “인불여남원(人不如南原)이란 의미도 우리 고향에 고승들이 많음을 인지한 말이라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다소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이를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에서 향토학 시리즈를 연속해 발간하고자 계획했다”며 “그 첫 번째로 <남원의 고승>을 출간하게 됐다. 일을 시작함에 있어 비문의 훼손으로 판독이 어려워 끝을 맺기는 어려움이 있지만 시작한 일이니 인내를 갖고 이어가도자 한다. 많은 분들의 질정(叱正)을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