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지수는 전주대비 0.20% 상승한 3194.30포인트에 마감했고 코스닥지수는 1.67% 하락한 806.95포인트로 마감했다.
수급적으로 보면 외국인투자자들은 반도체 대형주에 집중됐으나 관세협상 연기와 정책 불확실성이 시장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업종별 흐름은 철강, 2차전지, 조선 업종이 강세를 보인 반면, 소프트웨어, 필수소비재, 유통 업종은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이번 주는 한미통상 이슈 뿐만 아니라 미국의 기준금리 결정, 빅테크 실적 발표, 미중 미EU 무역 회담 등 대외 변수가 겹쳐 있어 시장이 관망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8월1일은 한미 간 관세 유예 시한이 종료되는 날로 자동차 및 반도체 관련 수출주를 중심으로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업종은 일본과는 달리 아직 미국과 관세 재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해 유예종료 이후 고율 관세가 재 부과될 경우 수출 실적과 주가흐름에 충격이 예상된다.
반도체 업종도 전략물자로 지정될 가능성이 제기되며 관세협상 결과에 따른 주가 반응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날 발표될 정부의 세법 개정안에는 대주주 기준 강화, 배당소득 분리과세 축소, 법인세율 조정 여부 등 시장에 민감한 내용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렇듯 복수의 정책 불확실성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투자자들의 위험회피 심리가 확대될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요소들도 부각되고 있다.
가장 주목받는 분야는 내수소비 회복세다. 2분기 한국 민간소비가 회복세를 보이고, 민생 소비쿠폰 지급도 내수 소비주에 우호적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 모습이다.
현재 관세 리스크가 부각되는 시점에는 국내 소비관련주를 선호되며 저평가 업종의 순환매 대응이 유효해 보인다.
실적대비 저평가와 낙폭과대 업종인 2차전지, 반도체,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유통업종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