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방산 새판 노리는 전북…실증은 있고 기반은 없다

전북, 피지컬AI로 무기 없는 방산 실증 전략 구상
탄소·드론 기반은 갖췄지만 핵심 기업 기반은 전무
방산클러스터 앞두고 실증-기술 연계 대책 시급

AI 무기체계./사진=연합뉴스.

피지컬 AI와 탄소소재를 앞세워 방위산업으로의 새로운 전환을 시도 중인 전북특별자치도가 기업 기반 부족이라는 현실의 벽에 직면한 모양새다.

방산클러스터 공모를 앞두고 피지컬 AI와 방산 실증의 연계를 구상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지역 기업이 아직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당장 내년 방산클러스터 국가 공모를 앞둔 만큼 정부 기조에 발맞춘 전략 수립과 기업 기반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도는 현재 피지컬 AI 실증단지 조성과 새만금 민·군 겸용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해 방위산업의 차별화를 시도 중이다.

기존의 무기 제조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AI·센서 기반 실증 중심 생태계를 통해 창원·구미 등과는 다른 방산 전환 모델을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도는 이를 위해 올해 피지컬 AI 실증 관련 예산으로 국비 229억 원을 확보했고, 향후 자율드론 실증, 탄소소재 실험 등과 연계한 새만금 테스트베드 구축도 진행 중이다.

피지컬 AI는 군사 분야에서 무인 수색정찰, 자율 전투지원, AI 기반 정비 등으로 활용될 수 있어, 정부가 집중 육성 중인 국방 AI 정책과도 방향을 같이한다.

하지만 전북이 구상 중인 전략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기업 기반 확충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지목된다.

현재 도내에는 방위사업청 지정 방산 체계기업이 4곳에 불과하며, 국방벤처센터에 등록된 68개 유망 기업군도 대부분 방산 진입 초기 단계의 중소기업이다.

피지컬 AI를 자체 개발하거나, 국방 수요에 특화된 AI 기술과 데이터를 보유한 기업은 거의 없는 셈이다.

도는 이에 따라 새만금 테스트베드 실증 영역을 전파 기반 드론에서 AI 기반 자율드론으로 확장하고, 지역 내 관련 기업 발굴과 외부 유치 전략을 병행하며 실증 중심 방산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특히 도는 내년 방산 클러스터 공모 도전을 앞두고 있어 피지컬 AI와 방산 실증 연계를 강점으로 내세우기 위해 기업과 기술, 실증이 맞물린 완성형 그림이 더욱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방위산업학회 관계자는 "정부가 K-방산을 미래전략산업으로 규정하고 있는 흐름에 올라타기 위해선, 전북 역시 실증을 넘어 기술 구현 역량을 갖춘 민간 파트너를 확보하는데 집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도 관계자는 “새만금 실증 인프라는 첨단소재 중심으로 추진 중이며, AI와의 접목을 위한 플러스 알파 전략도 내부 검토 중이다. 지역 내 방산 기업의 지원을 강화하거나 다른 지역의 적합한 기업과 협업 가능성을 찾는 일이 현재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