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발전특구’ 남원시 추가 지정…라이프케어 산업 날개 달았다

4차 기회발전특구 올해 첫 선정…정주여건 개선·세제혜택 등 집중 지원
남원일반산업단지 51만㎡ 규모...라이프케어 산업 분야 40여 곳 기업에 1조 7000억 투자
정부 “지방투자 신속 반영, 수시 지정 계속 확대할 것”

전국 기회발전특구 현황도./사진=전북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가 정부의 4차 ‘기회발전특구’로 새롭게 지정되며, 전북이 전략적으로 육성 중인 '라이프케어' 산업이 본격적인 성장 기반을 갖추게 됐다.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계획도 가시화되면서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남원시를 포함한 전북·경남지역의 기회발전특구 신규 지정과 울산의 기존 특구 면적 변경 내용을 관보에 고시했다.

이번 지정은 지난해 세 차례에 걸쳐 시행된 1~3차 지정에 이은 올해 첫 고시로, 지역의 신산업 성장 기반 확충을 위한 정부의 강한 의지를 담고 있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에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조세 감면, 규제 특례, 정주 여건 개선, 기반시설 확충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제도다.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업 투자가 어려운 비수도권 지역에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기회발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시도별 면적 상한(광역시 495만㎡, 광역도 661만㎡) 내에서 상시 신청이 가능하며, 기업의 투자계획에 맞춰 수시로 지정이 이뤄진다.

이번 지정에서 남원 일반산업단지 일원 51만㎡(약 15만 5000평)에 대한 특구 지정이 이뤄졌으며, 헬스케어·바이오·웰니스 등 라이프케어 산업을 중심으로 40여 개 기업이 총 1조 7000억 원에 달하는 투자 지원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북 내에서도 보기 드문 규모의 민간투자규모 대상지역으로, 지정을 계기로 수도권이나 타 지역에 집중된 관련 기업의 지방 이전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특히 전북도는 그동안 전주·완주 중심 자산운용·핀테크 산업과 새만금권의 재생에너지·물류·스마트그린 산업 등에 집중해 왔으며, 이번 남원 특구 지정을 통해 도내 산업지형을 다변화하고 내륙 지역 균형발전도 꾀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이번에 함께 지정된 경남의 밀양·하동·창녕에는 나노융합, 이차전지, 모빌리티 부품 중심으로 221만㎡(67만 평)가 신규 지정됐으며, 울산은 SK와 아마존웹서비스(AWS)의 AI 데이터센터 유치에 따라 기존 특구 면적이 1만 여㎡에서 3만 여㎡으로 확대됐다.

도 관계자는 “남원 기회발전특구 지정은 단순한 기업 유치의 의미를 넘어 전북 전반의 산업 생태계를 고도화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인구 유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향후 국비 지원과 기반시설 정비에 박차를 가해 성공적인 특구 운영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