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최대 중심상권으로 꼽히는 전주 서부신시가지에서 3년 째 음식점을 운영하던 A씨는 지난 달 말 사업장을 접었다.
주말이면 자리가 없을 정도로 붐비는 가게였지만 평일에는 눈에 띄게 손님이 줄면서 매달 나가는 임대료 400만원에다 식재료비 인상과 인건비 상승까지 겹치면서 도저히 수익을 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동안 월세마저 밀리면서 권리금은커녕 보증금도 제대로 찾지 못해 초창기 창업비용 2억 원을 날리고 신용보증재단을 통해 받은 소상공인 대출 8000만원은 고스란히 빚으로 남았다.
#전주 우아동에서 20년 동안 숙박업소를 운영하던 B씨도 최근 페업을 결심했다.
수년 전 1억 원을 들여 리모델링 공사를 마쳤지만 첨단 시설을 갖춘 모텔과 호텔이 우후죽순 생겨나면서 B씨의 모텔같은 오래된 건물에는 주말을 제외하고 평일에는 손님을 구경하기조차 힘들었기 때문이다.
전북의 자영업자들이 업황부진에 따른 매출감소와 금융비용 부담 증가로 고사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전북지역의 자영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0.2% 감소한 23만9000명을 기록했다. 지난 1년 동안 10명중 1명은 사업장을 접은 셈이다.
특히 전체 19%를 차지하고 있는 숙박·음식점업의 폐업사태가 두드러지고 있다.
숙박·음식점업의 폐업 건수는 지난 2023년 3,156건에서 지난 해 3,978건으로 늘었고 올해만 1,261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기간별 폐업업체 수 증가율을 살펴보면 3년 이하가 19.3%, 4~10년이 16.9%, 10년 초과 업체가 53.7%를 기록해 업력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하는 자영업자가 늘면서 상가 공실률도 심각한 상황이다.
한국 부동산원이 집계한 올해 1분기 상업용부동산 통계지표에 따르면 전북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18.9%로 전국평균 13.2%를 크게 웃돌며 세종(25.2%)과 충북(19.8%)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생회복지원금이 지역 내 소비 진작을 통해 자영업 매출 회복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단기적인 반짝 효과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요구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 전북본부는 “전북 자영업은 인구 감소, 청년층 유출 등으로 지역 내 소비 기반이 축소되는 구조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정주 여건 개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소비 기반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통 인프라 개선,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통해 청년층의 지역 정착을 유도함으로써 상권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