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정조준’…TF 총력 가동

김관영 지사 직속 TF 구성…실국 과제 재정비
올림픽 유치·RE100·공공의대 등 전략과제 집중
핵심 인사 릴레이 면담…정책설계부터 선제 대응

김관영 지사와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왼쪽), 박수현 국가균형성장특위 위원장(오른쪽)./사진=전북도.

전북특별자치도가 ‘제21대 대통령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지역 핵심 전략과제를 반영하기 위해 전방위 전략 대응에 나섰다. 단순 건의 수준을 넘는 기획단계 선제 대응으로, 중앙 정책의 출발점부터 주도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전략이다.

전북자치도는 지난 5월 김관영 지사 직속으로 ‘국정과제 대응 TF’를 구성하고, 전 실국의 전략과제를 전면 재정비했다. 노홍석 행정부지사를 총괄로 실국별 정책논리를 구조화하고, 자료 제출과 부처 실무 협의, 핵심 인사 전략건의의 3단계 대응체계를 수립했다.

도 TF 실무진은 거의 매일 서울을 오가며 관계 부처 및 국정기획위원회와 실시간으로 조율 중이다. 김관영 지사도 지난 6월 국정기획위원장 이한주, 균형발전특위 박수현 위원장, 국정기획위 소속 박홍근·이춘석·홍창남 분과장, 윤준병 의원 등 핵심 인사들과 릴레이 면담을 이어가며 전북의 전략과제를 강력히 설득하고 있다.

이번 대응의 핵심 과제로는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특별법 제정 △새만금 인프라 확충 및 RE100 기반 구축 △공공의대 설립 및 공공복지 강화 △디지털·AI 기반 미래 신산업 육성 △농생명산업 및 K-컬처산업 확장 등이 꼽힌다. 도는 과제별 당위성과 파급효과를 정교하게 구조화한 자료를 기반으로 설득 작업을 벌이고 있다.

특히 도는 이번 국정과제 반영을 ‘정책 수요자’가 아닌 ‘설계 참여자’로서의 구조적 성과로 이끌겠다는 입장이다. 단기 성과보다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에 방점을 찍겠다는 복안이다.

김 지사는 “이번 대응은 도정 조직이 정부 정책 설계에 공동 참여한 전례 없는 도전”이라며 “전북의 미래를 가를 핵심과제들이 정부 5개년 계획에 온전히 반영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