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강소연구개발특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4년 강소특구 연차평가’에서 전국 14개 강소특구 가운데 2년 연속 최우수 특구로 선정되며, 지역 산업혁신의 성공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사업화 성과, 입주기관 만족도, 지자체 기여도 등 3개 부문과 6개 세부지표를 평가한 이번 결과는, 단순한 실적을 넘어 위기 극복과 미래 산업 전환의 모범 사례로서 강소특구의 위상을 확인시켜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군산시는 조선·자동차산업 중심의 기존 산업 구조가 급격히 붕괴되면서, 이를 타개하고자 강소특구 지정을 추진, 2020년 7월 과기부로부터 강소특구로 지정받았다.
이후 기술이전, 창업교육, 시제품 제작, 판로개척 등 기업의 성장주기에 맞춘 전방위적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며, 기업 중심의 혁신을 견인해왔다.
이러한 전략은 지역 기업들의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연구소기업 ‘스펄스엠텍’은 과기부 첨단기술기업으로, ‘㈜지에스에코’는 산업부 국가전략과제인 알키미스트 프로젝트에 선정됐으며, 딥테크 창업기업 ‘모나㈜’는 AI 기반 이차전지 불량 진단 솔루션을 개발해 대기업 제조라인 실증을 마치고 양산 적용을 앞두고 있다.
이처럼 가시적인 성과는 지역 내 산학연관이 강소특구를 중심으로 유기적인 혁신클러스터를 형성하며 이루어진 결과로 평가된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특구 입주기업 수는 114개에서 229개로 증가했고, 연구소기업 29개 설립, 기술이전 196건, 신규 기술창업 53건, 투자연계 477억 원, 일자리 창출 1,030명, 누적 매출 404억 원 등 양적·질적 성과를 달성했다.
강임준 시장은 “군산 강소특구는 지방 중소도시에서도 R&D 기반 산업혁신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하며, 침체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자리 잡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기술이전과 사업화, 기업 전주기 맞춤형 지원을 통해 미래 신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