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유일 수소충전소 ‘셧다운’···친환경차 운전자들 ‘충전 대란’

7월 말부터 운영 중단···이용자들, 왕복 80km 부안까지 충전 원정
충전소 1곳에 의존하는 구조적 한계···대체시설·운영안전망 시급
“환경은 지켜도 일상은 불편”···수소차 정책, 인프라 뒷받침 없인 ‘역효과

군산시 지곡동에 위치한 ‘수소충전소', 이곳은 지역 내 유일한 수소충전소인데 지난 달 말부터 문을 닫아 수소차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사진=문정곤 기자 

군산시의 유일한 수소충전소가 지난 7월 말부터 운영을 중단하면서, 수소차 운전자들이 부안·익산까지 충전을 위해 장거리 이동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이번 사태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 정책이 인프라 준비 없이 추진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로, 충전소 이중화와 안정적인 운영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

군산시에 따르면 지곡동에 위치한 ‘군산수소충전소’는 시설물 정비를 이유로 7월 26일부터 8월 5일까지 운영을 중단했다. 

해당 충전소는 군산시에서 유일하게 수소차를 충전할 수 있는 시설이다.

문제는 대체 충전소가 전무한 가운데 사전 공지나 비상 대응 없이 시설이 갑작스레 멈춰 섰다는 점이다. 

현재 군산시에 등록된 수소차는 252대인데, 대체 시설이 없는 탓에 운전자들은 부안이나 익산까지 왕복 80km 거리를 이동하고 있다.

군산시는 정비로 인한 불가피한 상황이었다지만, 수소차 이용자들은 사전 공지나 별다른 비상조치 없이 갑작스러운 운영 중단은 친환경차의 편리함을 기대했던 이용자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겼다. 

이는 충전소 한 곳에만 의존하는 지역 수소 인프라의 구조적 문제로, 향후 수소차 확대 정책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인프라 이중화와 운영 안정성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이 나온다.

수소차를 운행 중인 강 모재 씨는 “충전 하나 하자고 부안까지 다녀와야 하는 상황”이라며 “친환경차를 타면서 환경은 지켜도 일상은 불편해졌고, 수소차를 샀던 장점이 모두 사라진 기분”이라고 토로했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충전소 한 곳이 멈췄다고 도시 전체의 수소차 운행이 차질을 빚는 구조는 반복돼서는 안 된다”며 “최소 1~2곳의 충전소 추가 설치와 함께, 운영 인력 확보 및 예고제 시행 등 시스템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군산시는 신관동에 60억 원을 들여 추가로 수소충전소 구축사업을 진행 중이지만, 상업 운전은 내년 하반기에야 가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기존 충전소의 운영이 또 중단될 경우, 수소차 이용자들의 불편은 당분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