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의회 김성수 의원(고창1)은 4일 본회의에서 전북은행의 과도한 예대금리차를 강도 높게 비판하며 “이자 장사에 몰두하는 향토은행은 존재 가치가 없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전북은행의 6월 기준 전체 예대금리차는 5.83%로 전국 1위다. 일반가계 예대금리차는 7.30%로, 같은 JB금융 계열인 광주은행(2.48%)의 세 배에 달한다. 김 의원은 “서민 고통을 외면한 고금리 장사는 지역 책임을 저버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북은행은 “정책서민금융 비중이 높아 금리가 높게 나타난다”고 해명했지만, 김 의원은 “정책대출을 제외한 수치도 최고 수준이다. 정책서민금융을 제외한 일반가계 예대금리차가 대단히 높은 이유에 대한 타당한 설명이 될 수 없다”며 일축했다. 특히 가계대출금리는 1년 새 8.08%에서 9.79%로 상승했다.
김 의원은 JB금융의 상반기 순이익(3,704억 원)과 312억 원 규모의 주주 배당을 언급하며 “서민의 고혈로 배당 잔치를 벌였다”고 비판했다. 이어 “도 금고 재선정 시 예대금리차를 평가에 반영하고, 고금리 수익에만 몰두할 경우 금고 자격 박탈도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전북은행은 "은행연합회 공시 자료는 각 신용등급구간의 은행별 대출 비중은 알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신용점수 850점 이하 구간의 대출 비중이 전체 가계 대출의 69.1%로 중·저신용자에 취급한 대출 비중이 매우 높다"며 "해당 금융 지원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산금리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전북은행은 "은행연합회 가계대출금리 비교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신용대출을 포함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취급이 많을수록 가계대출금리가 낮게 산출되는 방식이다. 전북은행은 주담대보다 신용대출 취급 비중이 현저히 높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