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농촌주민 사용 불편...불만 잇따라

완주 무주진안 등 농촌지역마다 하나로 마트 10여 곳에서 사용가능하지만 사전 정보 없이는 사용처가 제한 적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완주군 용진면에 사는 A씨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소비에 애를 먹고 있다. 실질적인 생활권은 직장이 있는 전주지만 주소지에서만 쓸수 있기 때문이다. 주소지 인근에 롯데마트가 있지만 이곳에서는 쓸 수가 없고 쿠폰이 허용되는 하나로 마트도 제한돼 있어 거절당하기 일쑤였다.

결국 차량을 이용해 5km이상 떨어져 있는 소비쿠폰 사용이 허용되는 하나로 마트에서 생필품을 구입했다.

그래도 자가용이 있는 A씨의 경우는 좀 나은 편이다. 운전을 하지 못하는 농촌 노인들에게는 정해진 하나로 마트까지 이동하는 게 여간 불편한 게 아니어서 사용기한인 오는 11월 말까지 사용할 수 있을지도 걱정이다.

침체된 경기를 회복하고 민생을 안정화한다는 취지로 정부가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상당수 농촌주민에게는 사용하기가 불편해 불만이 나오고 있다.

소비쿠폰 접수를 시작한 지 2주가 지난 현재 90%가 넘는 대상자가 신정을 마쳤지만 도시지역과는 달리 상당수 농촌주민들은 지역에 소비쿠폰을 사용할 곳이 없어 상대적 박탈감만 느끼고 있다. 

상권이 열악한 농촌에선 농협 하나로마트가 생필품을 구입할 유일한 유통망인 경우가 많은데 행안부가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과 마찬가지로 소비쿠폰 사용처를 연 매출 30억원 이하 사업장으로 제한한 탓이다.

유사업종이 없는 면지역에서는 농협 하나로 마트·농자재판매소에서 소비쿠폰을 쓸 수 있게 했지만 구멍가게 수준이라도 유사업종이 있다면 하나로 마트 사용이 불가하다.

도내 완주군과 무주, 진안, 장수 등 농촌지역마다 10여 곳의 하나로 마트에서는 사용이 가능토록 했지만 운전을 하지 못하는 농촌 노인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특히 하나로마트는 물론 작은 마트나 편의점도 없는 섬지역 주민들은 소비쿠폰이 무용지물이나 마찬가지다.

온라인 쇼핑이나 배달 앱 결제가 제한된 점도 소비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전주지역 한 소비자는 “코로나 19이후 1인가구의 경우 배달문화가 정착화 됐는데 소비자들의 편의는 생각하지 않은 처사”라며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때는 좀더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