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률 95%’, 지역경제 활성화 견인

6일 오후 6시 기준, 소비쿠폰 지급률 95% 달성
소비쿠폰 1072억원 이상 시중 유통...지역경제 회복 마중물 역할
‘소비쿠폰 사용 이벤트’로 신속한 민생경제 회복, 부정유통 발견시 벌금형 등 강력한 처벌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3분기에는 역대 최장기간 이어진 내수 부진이 끝나고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으로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관측됐다. 소비자심리지수는 비상계엄 사태가 있던 작년 12월 88.2까지 급락했으나 최근엔 지난 3월 93.4에서 4월 93.8, 5월 101.8, 6월 108.7에 이어 7월 110.8까지 넉 달 연속 상승했다. 3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5.8.3 ksm7976@yna.co.kr

전북도민 100명 중 95명 이상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6일(오후 6시) 기준 전북 지역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률은 95%를 기록했다. 지급 대상 171만6841명 중 162만9552명이 받았다. 총지급액은 3577억 원 중 3378억 원에 달한다.

특히 신용·체크카드 등 온라인으로 발급된 소비쿠폰 중 1072억원이 실제 소비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매출 증대 및 지역경제 회복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방증한다고 전북자치도는 설명했다.

해외 체류 후 귀국자나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이주한 주민, 취약계층 자격 변동자들을 위한 이의신청 제도도 높은 처리율을 보였다.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한 이의신청 5972건 중 5724건(95.8%)이 처리됐다.

전북도와 시군이 공동 운영하는 콜센터에는 6일까지 누적 1만8598건의 상담이 접수됐다. 상담 내용으로는 사용처 문의(33.6%)와 신청 방법 관련 문의(25.1%)가 주요 비중을 차지했다.

미신청자를 위한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도 지난달 28일부터 시행중이다.

이 서비스는 도내 14개 시군과 242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직원 약 1200명이 투입돼, 거동 불편 고령자와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직접 방문한다.

현장에서 신청부터 지급까지 처리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현재까지 약 2만 9000여 명에게 소비쿠폰을 지급했으며, 이 서비스는 다음달 12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또 소비 촉진을 위해 도는 오는 30일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벤트를 개최해 참여 도민을 대상으로 1인당 1만원(총 200만원) 상당의 경품을 지급할 계획이다.

물가 안정화를 위한 대책도 추진된다.

일부 업소의 과도한 요금 인상을 차단하기 위해 11월 말까지 도·시군, 소비자단체, 상인회 등이 민관 합동으로 가격 표시제 준수와 바가지 요금 방지를 위한 집중 단속에 나선다.

전통시장, 먹자골목, 골목형 상점가 등이 주요 점검 대상이며, 고정요금제 운영과 착한 가격업소 홍보 캠페인도 병행된다.

소비쿠폰 재판매나 부정 현금화 등을 막기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부정유통 신고센터(280-4950~4955)도 운영 중이다.

부정 유통이 적발될 경우 소비쿠폰 환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등록 취소, 과태료 부과, 정부 보조금 지원 제한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위장 가맹점을 운영할 시에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으로 3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수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TF 단장인 김종훈 도 경제부지사는  "앞으로도 시군 및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소비쿠폰 지급과 사용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