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드론축구월드컵인 '전주드론축구월드컵'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대회 준비 상황에도 관심이 쏠린다.
특히 대한드론축구협회가 비자금 의혹으로 경찰 압수수색을 받는 등 대회를 앞두고 잡음이 끊이질 않으면서 대회 준비에 대한 우려의 시선이 적지 않다. 예산 낭비 등 각종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선 예산 집행에 대한 투명성·타당성 확보 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7일 전주시에 따르면 2025 전주드론축구월드컵은 다음 달 25일부터 28일까지 전주국제드론스포츠센터에서 개최된다.
드론축구는 2016년 전주시와 캠틱종합기술원이 개발한 신개념 스포츠다. 탄소소재의 보호장구에 둘러싸인 드론을 공으로 삼아 축구처럼 골대에 넣어 승부를 가린다.
전주시와 국제드론축구연맹 등이 목표로 한 전주드론축구월드컵 참가 인원은 전 세계 32개국 2500명이다.
그러나 참가국 모집 결과 20개국만이 접수를 완료했다. 국제드론축구연맹(FIDA) 회원국이 16개국, 비회원국이 4개국으로 알려졌다. 전주시는 국제드론축구연맹 회원국이 총 20개국인 만큼, 현재까지 접수하지 않은 나머지 4개국의 참가를 독려한다는 계획이다.
전주드론축구월드컵은 회원국에만 국가대표 참가 자격이 주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전주시와 국제드론축구연맹 등은 회원국과 참가국을 동시에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회원국 모집이 원활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현재로서는 현실이 될 확률이 크다.
전주드론축구월드컵 조직위원회 위원장도 기존 계획과 달리 전주시장과 전주상공회의소장이 공동으로 맡기로 했다. 전주시는 대회 위상 등을 고려해 국토교통부 장관과 전북도지사에게 위원장직을 요청했으나 모두 불발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행히 전주드론축구월드컵 공식 경기장으로 활용될 전주국제드론스포츠센터는 건축 공사를 마무리한 상태다.
전주국제드론스포츠센터는 전주월드컵경기장 일대에 총 146억 원을 들여 지상 3층 규모로 건립했다. 센터에는 관람석 934석 규모의 드론축구 전용경기장과 선수대기실, 경기운영실 등을 조성했다.
전주시는 오는 26일 전주국제드론스포츠센터 준공식을 열 계획이다. 정식 개관은 내년 7월 예정이다.
무엇보다 전주드론축구월드컵은 긴축 재정 속 대규모 예산(50억 원)이 투입되는 만큼 효율적인 예산 운용이 요구된다. 전주시는 35억 원 규모 행사대행 용역, 6억 7000만 원 규모 선수단 편의지원 용역 등 업체를 통해 대회를 치른다.
임숙희 전주시 경제산업국장은 "대한드론축구협회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난해부터 인지하고 행정 중심으로 대회를 준비해왔다"며 "남은 기간 전주드론축구월드컵의 성공 개최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