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개발청(청장 김의겸)에 부안발전포럼(대표 김양원)이 부안의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새만금 개발계획 전면 재검토를 공식 제안했다.
김 대표는 7일 새만금개발청을 방문해 김의겸 청장과 면담을 갖고 “부안이 직면한 심각한 인구 감소와 산업 기반 부재 문제는 새만금 개발 방향과 직결돼 있다”며 “국가 차원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새만금 농생명용지 7공구를 대규모 산업단지로 조성해줄 것을 요청했다.
현재 농림축산식품부가 약 70만평 규모의 식품산업 용지를 검토 중이지만, 김 대표는 “이 정도 규모로는 경쟁력도 없고 부안의 지역소멸을 막는 데 역부족”이라며 “국토연구원 용역 결과대로 7공구 전체를 산업용지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서남권 해상풍력 양육점이 변산면 대항리로 결정돼 주민 반발이 커지는 상황을 언급하며, “국가 차원의 획기적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부안 쪽 새만금 관광레저용지의 용도변경과 공공 기초매립을 건의했다.
부안 측 관광용지는 2008년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 지정 이후 1건의 민간투자도 유치하지 못한 반면, 군산 쪽 560만평 산업단지는 이미 분양이 완료됐다. 김 대표는 “부안 쪽 관광용지는 경관 경쟁력이 떨어지고 매립지 특성상 매력이 부족해 민간 투자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관광·레저 용도의 근본적 재검토와 새만금개발공사의 기초매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의겸 청장은 “제안하신 사항을 새만금개발청 차원에서 깊이 검토하겠다”며 “부안군이 새만금 발전축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잘 알고 있으며, 환경친화적 개발 과정에서 부안이 실질적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화답했다.
부안발전포럼은 이번 면담을 토대로 ‘새만금-부안 상생발전 로드맵’을 마련해 중앙정부·전북도와의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김 대표는 “새만금의 성공은 곧 부안의 미래”라며 “지역사회와 힘을 모아 구체적 실행 전략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