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대] 광장과 공원, 그리고 전주

광복 80주년, 서울의 랜드마크 광화문 광장이 다시 주목받는다. 8월 15일, 뜻깊은 날을 기념하는 경축행사와 함께 이재명 대통령의 정식 취임식인 국민임명식이 이곳에서 열린다. 광화문 광장은 서울을 넘어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뉴욕의 타임스 스퀘어, 런던의 트라팔가 광장, 모스크바 붉은 광장, 베이징 천안문 광장처럼 도시와 국가의 랜드마크로 자리잡았다. 랜드마크(landmark)는 특정 지역을 대표하거나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독특한 지형이나 시설물을 말한다. 전국 각 지자체가 대규모 광장과 특색 있는 공원을 조성해 도시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부각시키겠다는 청사진을 마련해 속속 사업에 나섰다. 대표적으로 17년간 공들여 지난해 준공된 경남 진주시의 진주대첩광장을 꼽을 수 있다. 또 경기도 용인·화성시 등 곳곳에서 랜드마크 공원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광장과 공원은 시민들이 모이는 복합문화공간·휴식공간이자, 도시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역사공간이다.

그렇다면 ‘전통문화가 살아 숨쉬는 천년도시’라고 자부하는 전주는 어떨까. 가장 아쉬운 공간이 바로 광장과 공원이다. 물론 전주에도 광장이라 불리는 곳이 적지 않다. 노송광장·오거리문화광장·덕진광장·효자광장·서곡광장 등이다. 하지만 딱히 내세울 만한 곳이 없다. 대부분은 광장이라고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규모가 작다. 심지어 어떤 곳은 광장이라 불리는 이유조차 알 수 없다. 공원도 마찬가지다. 대부분이 주거지 인근에 조성된 소규모 근린공원이고, 나머지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런 가운데 올해 전주시가 추진한 ‘덕진공원 열린광장 조성’ 사업이 논란에 휩쓸렸다. 유서 깊은 전주의 명소, 덕진공원 입구부에 넓은 잔디광장을 조성하겠다며 시민공원을 지켜온 300여 그루의 나무부터 제거했다. 공원 어디서든 호수가 보일 수 있는 개방형 휴식공간을 만들겠다는 이유에서다. 당연히 시민 반발이 이어졌다. 광장은 소통·공론의 장이다. 그런데 덕진공원 열린광장은 조성계획에서부터 ‘시민과의 소통’이 없었다. 사업이 계획대로 마무리돼 광장이 조성되더라도 그 역할을 기대하기는 어렵게 됐다.

최근 수년간 지역 곳곳에서 재개발사업, 도시정비사업이 추진됐다. 도시 변혁·도시공간 재창조를 위해 공공영역에서 광장이나 공원을 설계할 수 있었을 텐데 그러지 않았다. 전주시가 도시의 거점, 금싸라기 땅을 빈 공간으로 남겨 시민에게 돌려줄 만한 재정적 여유가 없었다. 게다가 5년간 유예된 ‘도시공원 일몰제’가 지난달부터 본격 시행되면서 도심 녹지공간, 휴식공간은 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시민 휴식공간이면서 대규모 행사와 집회를 열 수 있는 소통공간의 필요성은 여전히 높다. 민선8기 우범기 시장은 취임과 함께 ‘전주 대변혁’을 공언했다. 도시의 권역별 거점과 녹지를 과감하게 ‘빈 공간’으로 남겨, 시민의 발길로 채우겠다는 의연한 결단이 필요하다.

/ 김종표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