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넘게 악취에 시달려…더는 못 참아”…고창 고창읍 신림농장 인근 주민 생존권 호소

고창 신림농장, 수십억 투입에도 해결 못한 ‘냄새 지옥’
주민 생존권 위협하는 종돈개량사업소… 시설 노후·저감장치 무용지물, 고창군·농협경제지주에 ‘이전’ 또는 ‘폐쇄’ 결단 촉구

고창군, 고창읍 온천마을 제일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에서 부착한 플래카드.  사진제공=박현표 기자

고창군 고창읍 온천마을 제일아파트와 주공아파트 일대. 여름 한낮 대문을 나서는 순간 코를 찌르는 것은 바람이 아니라 역한 악취다. 오래된 하수구와 가축분뇨가 뒤섞여 농축된 냄새가 숨통을 조인다. 주민들은 30년 넘게 이 ‘냄새 지옥’ 속에서 살아왔다. 원인은 불과 수백 미터 떨어진 농협경제지주 종돈개량사업소 신림농장이다.

주민들은 이 문제를 단순 민원이 아닌 ‘생존권 투쟁’으로 규정한다. “더 이상 미봉책은 없다. 이전 아니면 폐쇄뿐”이라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창문만 열면 목구멍 깊숙이 스며드는 냄새”

8월의 열기 속에서도 온천마을 주민들은 창문을 열지 못한다. 제일아파트 10층에 거주하는 김모 씨는 “창문만 열면 목구멍 깊숙이 냄새가 파고든다”며 고개를 저었다. 여름철 고온다습한 날씨에 분뇨 속 가스가 빠르게 증발하며 마을을 덮고, 장마철이면 습한 공기가 냄새를 가둬 마치 거대한 ‘악취 주머니’에 갇힌 듯하다.

가을에는 조금 나아지지만 바람 방향이 마을을 향하면 상황은 달라진다. 겨울철에는 눈 오는 날 축사 옆에서 피어오르는 하얀 수증기와 함께 악취가 기압에 눌려 흘러든다. 주민들은 “계절이 바뀌어도 자유로울 날이 없다”고 하소연한다.

 

20억 넘게 투입한 저감시설, 효과 ‘제로’

신림농장은 2008년 농협경제지주가 매입해 운영을 시작했다. 국비·도비·군비와 농협경제지주가 총 27억6000만 원을 들여 악취 저감시설을 설치했지만, 체감 효과는 거의 없었다. 가동 한 달 만에 변압기 벼락 사고로 악취가 대규모로 퍼지면서 주민들의 불신은 더 깊어졌다.

온천마을 제일아파트 최진수 입주자대표는 “노후한 시설에 입지 자체가 잘못됐다”며 “수십억을 더 투자해도 답이 없다. 이전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지적했다.

 

4년간 280억 적자에도 ‘버티기’

종돈개량사업소는 최근 4년간 연평균 70억 원씩, 총 280억 원의 적자를 기록하면서도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 고창군 환경위생과가 2021년부터 올해까지 8차례, 총 64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했지만 개선은 지지부진하다.

사업소 측은 “투자 여력이 한계”라며 오히려 “고창군이 매입해 달라”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고창군 관계자는 “농협경제지주의 결단 없이는 해결이 어렵다”며 “더 이상 군민만 피해를 볼 수 없다. 이전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주민들 “이번엔 끝까지”

마을 곳곳에는 ‘30년 참았다, 더 이상 못 참는다’는 현수막이 걸렸다. 대표회의 관계자는 “아이들이 태어나면서부터 이 냄새를 맡으며 자랐다. 천식·알레르기 환자가 늘었지만 치료비는 주민 몫”이라며 “건강과 생명을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비·도비·군비로 지원된 약 27억6000만 원의 저감장치도, 과태료도, 관리 매뉴얼도 모두 실패했다. 원인은 명확하다. 노후 시설, 부적절한 입지, 고창에만 대규모 사육을 집중시킨 구조적 문제 때문이다.

 

폐쇄 가능성도 거론

현재 신림농장은 모돈 없이 육성돈 약 5000두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남 대마농장을 폐쇄하면 자연스럽게 폐쇄 수순을 밟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농협 측은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종돈개량사업소 본소는 전남 영광군에 있으며, 경기 파주, 경북 의성, 전남 대마·불갑·수옥, 전북 신림농장 등 전국에 분산 운영 중이다.

 

주민들은 한목소리로 말한다.

“이전과 폐쇄만이 답이다. 결단이 늦어질수록 ‘냄새 지옥’은 계속될 것이고, 주민들의 분노도 더 깊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