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소상공인 ‘생존 비상’…10곳 중 3곳 연매출 2000만 원도 못 벌어

전북 소상공인 사업체 30%, 연 매출 규모 2000만 원 미만
창업률 12.3% 호남·제주 권역서 가장 높지만, 폐업률도 10%대 기록

호남제주지역 소상공인 경제 변화상 도표. 호남지방통계청 제공

전북 소상공인 사업체 10곳 중 3곳은 연 매출 2000만 원도 올리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극심한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소상공인 생존율도 권역에서 가장 낮았다.

호남지방통계청이 27일 발표한 ‘호남·제주 지역 소상공인 경제 변화상’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전북 지역 소상공인 사업체 26만 1000개소 가운데 30%의 연 매출 규모가 2000만 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2000만 원~5000만 원 미만은 26.4%로 조사됐다. 전북 소상공인 10명 중 3명이 최저임금 수준의 소득도 벌지 못한 셈이다.

창업과 폐업이 동시에 늘어난 것도 특징이다. 전북의 2023년 창업률은 12.3%로 권역에서 가장 높았지만, 폐업률도 10.5%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창업 5년 차 소상공인 생존율은 37.8%로 광주와 함께 최저치를 기록했다.

도내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 창업으로 이어졌지만, 내수 침체와 지역 내 산업 기반 약화가 맞물리며 창업 기업 상당수가 버티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폐업 업종은 도소매업(31.8%)이 가장 많았다. 숙박 및 음식점업(19.3%),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15.3%)이 뒤를 이었다. 건설업 폐업도 늘었다. 지난해 문을 닫은 건설업체만 2310곳이다.

개업 업종은 도소매업(25.8%), 전기·운수·통신·금융업(22.2%),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19%) 순이었다. 대표자 연령대는 60대 이상 20.3%, 50대 24.7%, 40대 24.3%, 30대 18.4%, 29세 이하 12.3%로 집계됐다.

전체 소상공인 사업체당 매출액도 1억 4790만 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310만 원 줄어들었다. 2019년 대비 소상공인 매출액이 줄어든 지역은 전북이 유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