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민행안정과 지역경제 활력 회복에 방점을 찍은 올해 두 번째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해 의회에 심의를 요청했다.
총 11조 4781억 원 규모로, 본 예산보다 4920억 원(4.5%) 늘어난 이번 추경은 정부 추경 대응과 취약계층 지원, 재난 대응, 신산업 투자 확대에 초점이 맞춰졌다.
전북자치도는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 제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추경은 국세세입 경정으로 지방소비세가 줄어드는 어려운 재정여건 속에서도 민생 지원과 신산업 투자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특히 정부의 1·2차 추경에 맞춰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재원을 반영했다. 1차 지급분 3398억 원에 이어 2차 지급분으로 국비 1398억 원, 도비 77억 원 등 총 1475억 원이 새로 편성됐다.
구체적으로 추경안은 △민생 안정 △취약계층 지원 △재난·재해 대응 △건설경기 활성화 및 신산업 투자 등 4개 분야에 집중됐다.
민생 분야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407억 원), 소상공인 금융지원 특례보증(137억 원),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50억 원) 등이 증액됐다.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서는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83억 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50억 원), 장애아가족 양육 지원(81억 원), 어르신 스포츠시설 이용료 지원(14억 원) 등이 반영됐다.
재난·재해 대응 분야에는 급경사지 정비사업(152억 원), 지방하천 유지보수(75억 원), 산림인접마을 비상소화장치 설치(4억 원) 등이 포함됐다.
또 건설경기 활성화와 신산업 투자 확대를 위해 새만금 유역 하수관로 정비(1552억 원), 농경지 배수개선 사업(1007억 원), 이차전지 지역기술혁신허브 육성(25억 원), 첨단바이오 부스트업 플랫폼 구축(38억 원), 양자기술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실증(10억 원) 등도 새로 편성됐다.
도는 이번 추경에서 불용·이월이 예상되는 사업을 조정해 시급한 사업에 우선 투자하는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한 효율적 재정 운용에 집중할 계획이다.
김관영 지사는 “이번 추경은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기 회복과 생활 안정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도의회와 도민의 협조 속에 신속히 집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