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난해 인구 100만 명당 식중독 환자 수 전국 '최고'

지난해 식중독 환자 7624명⋯경기(1898명), 전북(1223명) 순
전북, 인구 100만 명당 환산 시 698명으로 전국서 가장 많아

식중독 관련 사진. 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전북에서 인구 대비 가장 많은 식중독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2024년 식중독 발생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 식중독 환자 수는 1223명이다. 환자 수 자체는 경기(1898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지만, 인구 100만 명당으로 환산하면 전북은 698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반면 인구 수가 많은 많은 경기는 139명에 그쳤다.

특히 지난해 7월 남원에서 초·중·고교생 1000여 명이 집단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였다. 이들 학교에 공통으로 납품된 김치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됐다. 당시 남원시는 첫 식중독 의심 환자가 발생하면서 남원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이어 8월에는 전주의 한 중학교에서 학생 60여 명이 간식용 우유를 먹고, 11월에는 군산의 한 펜션 이용객들이 해산물을 먹고 집단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이면서 보건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서기도 했다.

식약처가 발표한 최근 5년간 식중독 발생 환자·건수 그래픽. 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전국 식중독 발생 총 건수는 265건, 환자 수는 7624명이다. 전년 대비 각각 26%, 13% 감소했다. 폭염·장마가 있는 7∼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으며 음식점에서 발생한 경우가 많았다.

식중독 원인병원체는 살모넬라(58건), 노로바이러스(37건), 병원성대장균(24건) 순으로 확인됐다. 최근 3년간 노로바이러스가 가장 많았던 것과 달리 지난해에는 살모넬라가 제1의 식중독 원인균으로 꼽혔다.

식약처 관계자는 "9월에도 식중독이 지속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은 평소 식중독 예방 수칙인 '손보구가세(손 씻기, 보관 온도 지키기, 구분 사용하기, 가열하기, 세척·소독하기)'를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식중독 예방 교육·홍보 및 점검을 강화하는 등 국민의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