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가계 식료품 소비가 9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 식료품·비주류 음료 실질 소비지출은 월평균 34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1.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가구 식료품·비주류 음료 명목소비지출은 월평균 42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1.8% 늘었다.
이는 먹거리 지출액 자체는 늘어났지만, 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제 소비 규모는 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구 먹거리 실질 지출은 고물가 현상이 누적되면서 2023년 4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가 지난해 4분기 1.8% 늘어나며 반등했다. 그러나 올해 1분기 증가율이 0.4%로 위축됐으며, 올해 2분기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특히 이번 2분기 먹거리 실질 지출액은 같은 기준으로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계 집계 이전까지 비교하면, 2016년 2분기 이후 9년 만에 가장 적은 규모다.
이 같은 상황은 고물가 현상이 지속되는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2분기 식료품·음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9%에 달했다. 이는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2.1%를 웃도는 수준이다.
작년 연말 큰 폭으로 올랐던 환율이 수입 원자재 등에 반영되면서 식품 기업들이 출고가를 줄줄이 올렸다. 이에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상 음식점 소비가 증가하면 식료품 소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2분기에는 외식비 지출도 소폭 증가에 그쳤다.
먹거리 물가는 3분기에도 상승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공식품 가격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여름철 폭염 등 이상기후로 채소 등 신선식품 가격이 훌쩍 뛰었기 때문이다. 지난 7월 식료품·비주류 음료 품목 물가 상승률은 3.5%로 기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