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대학 지정 놓고 전주대·학교법인 갈등…박진배 총장 사의

전주대학교 박진배 총장이 사의를 표명했다.

교육부의 글로컬대학30 지정의 필수요건인 정관 개정을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이사회가 반대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박 총장은 지난달 29일 학교 구성원들에게 보낸 서한문을 통해 “글로컬대학 본 지정의 필수요건인 정관 개정을 이사회 의결을 통해 반대했다”며 “결국 대학운영 주체인 학교법인이 구성원들이 염원하는 글로컬대학 최종 선정을 스스로 가로막고, 오히려 멀어지게 한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저는 이제 사랑하는 대학의 총장직을 31일자로 내려놓고자 한다”며 “임기가 남았지만 더 이상 총장직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글로컬 대학은 정부가 지방대학 소멸 위기에 맞서 지역사회와 대학의 상생 방안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2023년 전북대 등 10개 대학이 1차 선정됐고, 지난 5월 전주대와 호원대연합 등 10곳이 추가로 예비사업 대학으로 지정됐었다.

교육부는 2개 대학 이상이 연합으로 사업을 신청할 경우 글로컬대학 본지정 평가 시 대학 정관 등의 사항을 반영한 공식 문서를 제출해야 함을 명시했다. 이에 전주대-호원대연합은 정관 개정(안)을 마련했지만 이사회가 권한 축소 등의 이유로 이를 수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동아대와 동서대 연합은 정관 개정을 통해 글로컬 대학에 지정된 바 있다.

또한 전주대가 글로컬 대학의 핵심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인 전주대 스타센터 일부 공간을 사업 종료 후 전북도에 기부채납하는 안건 역시 이사회에 상정됐으나 이마저도 부결됐다.

전주대 한 관계자는 “학교법인이 연합대학을 정관에서 수용할 경우 이사회의 권한이 훼손될 우려가 있고, 이사회 기능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이를 부결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전주대 학교법인 이사회는 오는 5일 총장 면직 및 총장 직무대행 선임 등의 안건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