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도입 중인 '긴급차량 우선신호 시스템'이 병원 이송 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성과를 내면서, 남원시도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이 시스템은 구급차·소방차 등 긴급차량의 GPS 기반 정보를 교통신호 제어센터로 전송해 교차로 신호를 우선 변경하는 방식이다.
일시적인 신호 제어로 일반 운전자에게 불편을 줄 수도 있지만, 긴급차량이 통과하면 자동으로 신호가 복구돼 교통 흐름도 크게 저해하지 않는다.
결국 생명을 살리기 위해 사회 전체가 감수할 수 있는 합리적인 조치라는 평가다.
실제 운영 성과는 수치로 증명된다.
2일 전북특별자치도 소방본부와 남원소방서 등에 따르면 전주·익산·군산·정읍 등 4개 도시에서는 이미 시스템을 가동 중이며, 올해 상반기 병원 이송 시간이 평균 4분 37초 단축됐다.
또 지난 7월 무주에서 발생한 응급 환자 출동 사례에서도 전주 관할 구급대가 금암동 사거리에서 예수병원까지 기존 22분이 걸리던 구간을 15분 만에 도착했다.
구급차 이송에서 1분의 차이가 생명을 가르는 변수라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성과다.
남원시도 시스템 도입 필요성이 큰 상황이다.
지역 최대 행사인 춘향제와 흥부제 등 대규모 축제가 열릴 때마다 도심 교통은 정체에 가까운 혼잡을 겪는다. 평소보다 구급차나 소방차 이동이 지체될 위험이 큰 것이다.
이 때문에 시스템 도입이 단순히 신속한 출동에 그치지 않고, 대규모 재난이나 사고에 대응하는 체계를 전반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수단으로 대두되고 있다.
전문가는 남원시가 조속한 시스템 도입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공하성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응급상황에서는 1분 1초가 생사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시간”이라며 “재원 마련에 무리가 없다면 지자체 입장에서는 시스템 도입을 뜸들일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남원소방서·남원시청·남원경찰서는 협의체를 꾸려 시스템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