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군, 금강 상류 최대규모 마한 취락지 발굴

계남면 화양리 일원서 주거지 63기 확인
역사문화권 특별법 ‘5관왕’ 위상 강화

금강 상류 최대규모 마한 취락지 발굴 조사            /사진제공=장수군

장수군이 금강 상류 지방에서 최대 규모로 추정되는 마한 취락지를 발굴했다.

군은 2일 천천–장수IC 연결도로 공사 구간에 대한 사전 조사 과정에서 계남면 화양리 10-1번지 일원에서 원삼국시대 마한 취락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장수군과 재단법인 전라문화유산연구원(조사단장 김미란)이 계약을 체결해 진행한 것으로 시굴 9,814㎡, 발굴 5,780㎡ 규모의 매장 유산조사가 이뤄졌다.

발굴 결과 주거지 63기, 지상건물지 10기, 구상유구 8기, 수혈 3기가 드러났다. 이는 장수군에서 확인된 마한 취락 가운데 최대 규모다.

주거지 형태는 (말각)방형계가 주류를 이루고 일부 타원형도 확인됐다. 내부에서는 점토식 부뚜막, 주공, 벽구, 장타원형 수혈 등이 나타났으며 장란형 토기, 심발, 시루, 호, 완, 주구토기, 소량의 철기류와 방추차, 곡옥거푸집 등이 출토됐다.

특히 집선문과 승석문이 새겨진 회색 경질토기가 다수 발견돼 취락의 형성 운영 시기를 4~5세기로 추정케 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유적이 마한계 주거 구조의 특징을 분명히 보여주는 동시에 전북 동부지역 마한 주거지 연구와 장수의 역사성을 입증하는 귀중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유적은 마무산 남동사면에 위치해 있으며, 유천과 장계천이 합류해 금강으로 이어지는 수계의 핵심 지점으로 고대 교통·생산 거점지로서의 위상을 확인시켜 준다.

다만 현재는 지형 변형이 심해 당시의 취락 규모는 조사 범위보다 훨씬 넓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훈식 군수는 “이번 발굴은 장수군이 고대사회의 중추적 지역이었음을 다시금 보여주는 성과”라며 “역사문화권 특별법 5관왕의 위상에 걸맞게 장수군의 정체성과 가치를 전국적으로 알리는 계기로 삼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