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공급절벽 오나…2년 후 신규 아파트 공급 가뭄 우려

한국부동산원 집계 올해와 내년 전북지역 각각 4894 가구·6,727가구 입주 예정
하지만 2년 후 2027년 상반기에는 1224가구로 입주물량 큰 폭 감소 예상
고금리·부동산 규제로 신규 사업 급감...공급 감소 따른 아파트 분양가 상승 우려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전북지역 신규 아파트 공급이 2년 후에는 급감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공급물량 감소에 따른 분양가 상승이 우려되고 있다.

고금리와 부동산 규제로 신규 사업 급감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수도권과는 구분되는 지역실정에 맞는 부동산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3일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공동주택 입주예정물량 전망치에 따르면 전북지역의 올해 하반기 입주예정물량은 4,894 가구며 내년에는 6,727 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하지만 2027년 상반기에는 1,224가구에 그칠 전망이다.

고금리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데다 건설사들에 대한 PF대출 규제로 건설사들이 유동성확보에 어려움이 커지면서 사업을 무기한 연기하거나 아예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2022년만 해도 0%대 였던 PF대출 연체율이 올해들어 4%를 훌쩍 넘은 것으로 나타나 PF대출 규제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높은 금리를 감수하고라도 토지감정가의 100%까지 대출을 해주는 제2금융권에 손을 빌리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높아진 금융비용은 분양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어 신규 아파트 분양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공사비 상승도 공급 위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 연합회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건설자재는 35% 이상 상승했다.

여기에 고금리에 따른 금융과 관리 비용증가와 인건비 상승 등이 건설사들의 신규 사업 추진에 제동을 걸고 있다.

특히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에서는 공사비 급등으로 인해 조합과 시공사 간 갈등이 발생하며 사업이 지연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실제 건설사들의 착공실적도 지난해 2741가구에서 올해 2285가구로 16.6%, 거래량도 최근 5년 평균치보다 19.6% 줄었다.

도내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을 겨냥한 부동산 정책이 전북지역에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향후 2~3년 이후 신규 아파트 공급 가뭄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역현실에 맞는 부동산 정책이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