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바이오매스 발전 시설 건설 사업체와 주민협의체 입장차 너무 크다

-주민 반대 목소리 높아 향후 법적 소송 우려 높아져
-양측 대화 없이 명분만 찾으며 지역사회 논란 지속

정읍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 공사가 9월1일부터 일시 중지된 현장 모습. 사진제공=정읍그린파워

정읍시 덕천면 제1일반산업단지에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 사업자인 정읍그린파워(대표 김민수)가 화력발전소 반대 대책위원회(위원장 우용태)와 대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높아 향후 법적 소송으로 이어질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8월22일 정읍시장과 사업자대표, 반대대책위원회가 만났지만 상호 원론적인 의견을 교환하며 입장을 듣는데 그쳐 양측 모두 유리한 명분만 찾으면서 지역사회 논란만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읍그린파워는 지난4일 보도자료를 통해  "9월1일부터 현장 공사를 일시 중단하고 주민과의 대화에 주력하겠다" 면서도 "지난 시간 오해와 갈등을 넘어 이해와 협력으로 지역사회와 공존하는 안전하고 깨끗한 발전소를 건설·운영해 나갈 예정이다"고 밝혀 사업추진 의지를 분명히했다.

정읍그린파워에 따르면 ‘2016년 정부로부터 발전사업허가 취득 후 7년여에 걸친 사업 검토 및 심의를 거쳐 2022년 말 제반 인허가를 모두 완료했다.

이후 발전공기업인 한국남부발전이 참여하여 사업주 변경, 금융조달, 건설계약 등 사업체계를 완비한 후 ‘2025년 3월 착공했지만 지난 4월부터 발전소 건설에 대해 주민 반대의견이 확산되며 지역 현안으로 대두되었고, 이에 정읍시는 발전소 건설사업에 대한 공사중지 권고 및 가처분 신청을 하는 등 정상적인 사업 추진이 불투명한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

정읍그린파워 관계자는 "지난22일 대화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공사 중지 요청을 주주협의회가 수용했다. 가급적이면 추석 전까지 주민 의견에 귀 기울여 부족한 부분은 보완하고 잘못된 점이 있다면 바로잡으며 추진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실제로 사업체측이 직접 반경 3km이내 36개 마을을 대상으로 설명회에 나서면서 2개마을에서 진행이 되었지만 주민들의 불신과 반발이 매우 높아서 다른 마을 이·통장들도 오해를 받을 우려로 대화를 주선하는 것을 꺼리고 있는것으로 전해졌다.

반대대책위 관계자는 "주민들이 이전에 활동했던 주민협의체 대표 A씨에 대한 거부반응이 크고, 업체가 주민의견 수렴을 이유로 대화를 요구하는데 응하지 않으면 그것을 명분으로 내세울수도 있어서 염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정읍시는 연료반입동 등에 대한 건축허가를 불허하고 법원에 공사중지가처분신청을 냈으며 이학수 정읍시장은 전북특별자치도에 제1산업단지 개발계획 연장의 건 승인을 해주지 말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