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정부예산안에 전주시 예산 2조 1630억 원이 반영됐다. 이는 전년도 정부예산안 반영액보다 1262억 원(6.2%) 늘어난 규모다.
7일 전주시에 따르면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포함된 전주시 관련 예산은 2조 1630억 원 규모다. 이 가운데 신규사업 예산은 39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들 신규사업의 경우 연차적으로 국가예산 5544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전주시 예산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경제·산업 분야의 경우 △피지컬AI 기반 SW플랫폼 연구개발 생태계 조성(200억 원) △AI 신뢰성 검증 허브센터 구축(10억 원) △습식파우더 기반 프리프레그 공정기반 구축(28억 원) △친환경 재활용 탄소섬유 기반 열가소성 복합재 실증기반 구축(23억 원) 등이 반영됐다.
문화·예술 분야는 △호남권 전주 스포츠가치센터 건립(2억 원) △전북 스타트업파크 조성(5억 원) △전주부성 복원 정비(3억 원) △국립모두예술콤플렉스 건립(2억 5000만 원) △AI 기반 VFX 후반제작시설 구축(10억 원) 등이 포함됐다.
사회·복지 분야는 △스마트 지역아동센터 구축(4억 원) △전주천 국가하천 정비(20억 원) △낙수정·견훤왕궁지구 새뜰마을 조성(13억 원) △전주 서부권 복합복지관 조성(7억 원) 등이 정부예산안에 담겼다.
이 밖에 △전주 독립영화의집 건립(132억 1000만 원) △기린대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축(73억 원) △덕진권역 도시재생사업(90억 원) △중소벤처기업 전북연수원 건립(83억 원) △전주 탄소국가산업단지 조성(258억 원) △탄소제품 표준·인증 토탈 솔루션 기반구축(21억 원) △국립무형유산원 어린이 무형유산전당 건립(21억 원) 등 분야별 계속사업도 관련 예산을 확보했다.
이와 관련 전주시는 내년도 정부예산안이 국회로 넘어간 만큼 국회 예산 심의 단계에서 국가예산이 추가 반영되도록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김성환 전주시 기획예산과장은 "정부예산안이 12월 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기 전까지 전주시 관련 예산의 추가 반영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전북 국회의원들과의 긴밀한 공조 체계를 바탕으로 3년 연속 국가예산 2조 원 시대를 열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