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올 여름은 유난히 폭염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빈발하였다. 지난 9월 7일 군산에 시간당 152mm의 200년 빈도의 기록적 폭우가 내리며 전북권 전역에 침수 통제와 산사태 주의가 발령되었다. 특히, 군산시 나운동 구)보건소 사거리와 신풍·송풍동 일대가 해마다 집중호우 때마다 침수 피해가 발생해 근본적인 침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 지역 침수는 2013년 ‘8·13 수해’ 이후 폭우 때마다 반복되고 있는 데 고지대인 백토고개와 구)보건소 일대에서 급격히 흘러드는 빗물과 각종 쓰레기가 하수구를 막아 배수 기능이 마비되는 일이 빈발하며,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군산시는 2013년 ‘8·13 수해’ 이후 수십억 원을 들여 우수저류시설과 배수 펌프장, 압송관로 설치 등 대책을 마련해 왔다. 그런데 이번 집중호우는 시설의 처리 용량을 넘어서는 강우로 배수 효과가 한계에 달했음을 보여주었다. 즉, 시설은 정상 작동했지만, 처리용량을 초과한 폭우 앞에서는 역부족이었다. 전문가들은 해당 지역이 저지대에 위치해 단편적인 시설 보강으로는 반복되는 침수를 막기 어려워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또한 기록적 폭우가 향후 더 많아질 것이란 기상청의 장기 예상을 감안할 때 근본적인 배수 및 대응 용량 확충이 절실하다. 이를 위해 하수도 기본계획의 강우 빈도 기준부터 재검토하고, 상습 침수 지역에 대한 전면적인 배수 체계 점검과 처리용량의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피해복구 지원금에 대한 피해 주민들의 불만도 해결안을 강구해야 한다. 지난해 7월 군산의 시간당 최고 132mm의 강수량에 따른 해당 지역 상당수 침수상가는 수천만 원의 피해가 발생했지만 지원금은 300만~500만 원 수준에 그쳐 누적되는 피해와 지원금 사이의 괴리가 너무 크다는 호소를 하고 있다. 따라서 보험제도 강화, 긴급 금융지원, 상권 회생 같은 체감할 수 있는 지원과 침수 예방을 위한 중장기 대책이 필요하다. 결국 전북도와 군산시는 상습 침수 공간의 구조개선, 배수 용량확대, 피해 보상문제에 대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지역 정치권과 함께 중앙정부와 협의해 국비, 지방비를 포함한 근본 대책을 시급히 마련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