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전국 10만 의용소방대원이 이용할 수 있는 연수원을 반드시 군산에 유치하자.”(7월 31일자)
지역 관광 및 경제에 큰 활력소가 될 ‘국립 의용소방대 연수원 구축 사업’을 실현시키기 위해 시민들이 지원사격에 나섰다.
이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최근 ‘의용소방대연수원 민간협의회’가 구성, 빠르면 이달 말 공식 출범을 앞두고 있다.
의소대연수원 민간협의회는 유우종 전 군산소방서장과 장병수 전 군산의용소방대 연합회장을 중심으로 10여명이 뜻을 같이하고 있다.
의용소방대연수원의 경우 이재명 대통령의 군산 맞춤형 공약 중 하나로서, 소방청에서도 사업 필요성 인식하고 있지만 사실상 검토만 이뤄지고 있을 뿐 구체적인 로드맵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특히 과거에도 이 사업이 수면 위에 올랐다가 흐지부지 사라졌던 선례가 있었던 만큼 새 정부의 기대 속에 우려도 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의소대연수원 민간협의회는 이 사업이 구체적이고 속도감 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민간 차원에서 힘을 보태겠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지자체 및 정치권과 협력체계를 공유하고 지역사회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출범에 앞서 의소대연수원 민간협의회는강임준 시장과 신영대 의원을 비롯해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 한병도 의원(익산) 등과 잇따라 면담을 갖고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도 했다.
향후 정치권에서는 연수원 건립의 발판이 되는 의용소방대법 개정 작업을, 시 차원에서는 타당성 용역을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시는 1500억 원(부지구입비 300억 원, 건축비 1200억 원)을 들여 옛 동산중 일원에 의용소방대 연수원을 건립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사업 부지로 옛 동산중 일원이 먼저 제안된 이유는 지역 대표 관광지인 시간여행마을과 의용소방대원의 정신이 담겨져 있는 월명공원 내 '의용불멸의 비’와 인접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옛 동산중 일원이 협소하다는 지적 등도 나오고 있어 다른 부지도 알아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우종 의소대연수원 민간협의회장은 “전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의용소방대원들의 복지 및 편의 시설, 체계적인 교육훈련 등을 위해 연수원의 필요성이 오래전부터 제기됐지만 이렇다 할 진척이 없었다”면서 “역사성∙상징성을 지닌 군산지역에 의용소방대 연수원을 하루빨리 지어질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산의 경우 지난 1945년 11월 경마장(팔마광장)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던 중 일본군이 매설한 폭발물이 터져 현장에서 순직한 故 권영복 의용소방대장을 비롯한 의용소방대원(9인)의 혼과 거룩한 희생이 있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