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대법원장 사퇴요구 나온 이유 돌이켜봐야 한다는데 공감"

"국회는 가장 우선되는 선출권력…시대적·국민적 요구 있다면 돌아봐야"
사법부 향해 "입법부 논의 지켜봐야…정부는 국회결정 존중할 수밖에"
'대법원장 사퇴 요구 자체에 공감' 분석 나오자 재차 브리핑…"오독·오보"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1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대통령실은 15일 추미애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 전날 조희대 대법원장을 향해 사퇴를 요구한 것과 관련해 "시대적·국민적 요구가 있다면 '임명된 권한'으로서는 그 요구의 개연성과 이유에 대해 돌이켜봐야 할 필요가 있지 않느냐는 점에 대해 아주 원칙적으로 공감한다"고 말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추 위원장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특별한 입장은 없다"면서도 "국회가 숙고와 논의를 통해 헌법 정신과 국민의 뜻을 반영하고자 한다면 가장 우선시되는 국민의 선출 권력"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추 위원장은 14일 페이스북에 "검찰 독재 시대에는 침묵하다가 가장 민주적인 정권 아래에서 무슨 염치로 사법부 독립을 주장하느냐"며 "조 대법원장이 헌법 수호를 핑계로 사법 독립을 외치지만 속으로는 내란범을 재판 지연으로 보호하고 있다"고 썼다.

또 "내란을 저지른 이후에도 내란범 구속 취소 등으로 내란 세력의 간을 키웠다"며 "이에 대한 책임은 조 대법원장에게 있고 사법 독립을 위해서 자신이 먼저 물러남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강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 대해 조 대법원장 사퇴 요구 자체에 대통령실이 공감을 표했다는 분석이 나오자 재차 브리핑을 열어 취지를 다시 설명했다.

강 대변인은 "삼권분립 및 선출 권력에 대한 존중감에 대해 '원칙적 공감'이라고 표현한 것"이라며 "구체적 의견은 아직 없다는 게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사안에 대해 원칙적으로 공감한다는 것은 오독이고 오보"라며 "발언의 앞뒤 맥락을 배제하고 한 부분만 떼어 쓴 것이나 다름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강 대변인은  최근 조 대법원장과 전국법원장회의가 여권이 추진하는 사법개혁에 '신중론'을 제기한 것에 대해서도 "간접적 임명권을 통해 임명된 권한은 (선출 권력인) 입법부의 논의를 충분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입법부가 가진 자정과 내부적 협의 능력에 대해 의심부터 한다기보다는 천천히 지켜보고 숙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내란특별재판부' 설치에 관해서는 "내란 사태의 신속한 종식을 위해 법률을 제정하거나 이외 (별도의) 기구가 필요하다고 할지언정, 그것 역시 국회가 숙고와 논의를 거쳐서 갈 부분이고 정부는 최종적 결정에 대해 존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