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선운사에 두 가지의 창건설화가 전한다. 진흥왕 창건설화와 검단선사 창건설화이다. 그 중 검단선사 창건설화는 검단이 연못에 살고 있는 용을 몰아내고 못을 메워 선운사를 창건했다고 한다. 당시 선운사 인근에 도적떼가 많았는데 검단선사가 이들을 불법으로 바르게 이끈 후 소금 굽는 법을 알려주어 생업으로 삼게 했다고 한다.
검단선사에 대해 알 수 있는 역사적 자료는 남아있지 않지만 검단(黔丹)이라는 이름에서 얼굴이 검붉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그의 외모에서 인도에서 온 승려로 보기도 한다.
△ 검단선사가 알려준 소금 굽는 법
검단선사가 선운사를 창건했다는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을 확인하기 어렵지만 도적떼를 교화해서 소금 굽는 법을 알려주었다는 이야기는 꽤 신빙성이 있다. 우리의 전통 소금생산법이 바닷물을 불로 때서 구워 만드는 자염(煮鹽)이기 때문이다. 「도솔산 선운사 창수승적기」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마두치 아래 개태사가 있으니 검단 선승이 마음을 연마하며 수도하던 도량이다. 그 아래 바닷가에는 검단리(黔丹里)가 있으니 신승(神僧)이 처음 염정(鹽井)을 만들고 여기에서 소금을 구워 절에 돌아가며 바치게 하였다. 그 법이 이어 내려와 아직도 소금을 직접 갖다 바치는 관례가 전해오고 있다.”
이 사적기는 1707년의 기록이다. 검단선사가 염정을 만들어 소금 굽는 법을 알려주어 검단리에서 선운사에 보은염을 바치는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검단리는 어디이며, 염정은 또 무엇인가.
고산자 김정호가 제작한 동여도에 선운사 너머 바닷가에 검당포가 있고, 그 앞바다에 염정이라 표시되어 있다. 1872년 무장현지도에는 검당리 앞 바다에 ‘밀물이 들어오면 깊이가 1장이고, 조수가 물러가면 모래사장에 염장이 있는 곳(潮進則水深一丈 潮退則鹽場與沙場處)’이라 적혀있다.
동여도에 검단리는 없지만 검당포(檢堂浦)가 있다. 1872년 무장현지도에도 같은 한자를 쓰는 검당마을이 표기되어 있다. 위치상 동일한 곳이다. 검단이 발음하기 쉬운 검당으로 음이 전이되면서 한자도 읽기 쉬운 글자로 바뀌었다. 그렇다면 염정과 염장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1925년에 최남선이 호남지방을 여행하면서 썼던 기행문인 『심춘순례』에 이에 대한 힌트가 있다. 부안 유천리에서 소금 굽는 현장을 보고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소금 굽는 것을 보기 위해 길을 내놓고 일부러 갯바닥으로 내려섰다. 해변에서 물이 들었다가 잘 빠질 지세를 가려서 흙을 긁어모아 대접 엎어놓은 것처럼 만들고, 속에는 솔가리 같은 것을 넣어서 마치 잿물시루처럼 만들었다. 밀물 짠물이 들어와 위에 고인 것이 개흙에 걸려서 아래로 내려가면, 밑에는 받을 통이 있어 받쳐 나온 물이 거기 가서 담긴다. 그 옆구리에 샘구멍을 만들어 쓰는 대로 퍼내게 한 것이 ‘섯등’이라는 것이다. 섯등이란 것은 요컨대 바닷물을 한 번 걸러내려 하는 잿물시루의 시루 같은 것이다. 이러한 섯등이 다섯씩 열씩 늘어서 있는 곳을 ‘염벗’ ‘염밭’ ‘염벌’이라 하여 그 산업적 지위가 육상의 전답보다 더 귀중함이 있다. 염벗에는 또 몽고인의 장옥(帳屋)처럼 둥그렇게 지은 초막이 여기저기 서있다. 그 안에 커다랗게 부뚜막을 하고 두어 칸통이나 됨직한 함석목판인 소금가마를 그 위에 붙였는데, 아까 그 물을 길러다가 붓고, 한나절 남짓 밑으로 불을 지피면 수분은 증발되고 염질만 결정되어 소금이라는 귀중한 산물이 생기는 것이다.”
이 기록을 조금 보완해서 설명하면 이해하기 쉽다. 최남선이 갯벌에 내려가 소금 굽는 모습을 볼 때는 그 이전단계가 진행된 후였기 때문이다. 바닷물이 물러가고 갯벌이 드러나면 쟁기로 갈아엎는다. 이렇게 하면 염기를 머금은 개펄 흙이 햇볕과 바람에 잘 마르게 된다. 이 마른 흙을 써레로 모아서 솔가지를 얹어 만든 구조물 위에 올려놓는다. 밀물이 들어오면 햇볕에 말라 소금기를 머금고 있는 개펄 흙이 바닷물에 걸러지면서 짙은 농도의 소금물이 그 옆에 파놓은 웅덩이에 고이게 된다. 이 웅덩이가 ‘섯등’으로 한자어로는 염정(鹽井)이다. 이러한 염정이 여럿 모여 있는 곳이 ‘염밭’ ‘염벌’로 불리는 염장(鹽場)이다. 염정에 고인 짙은 농도의 바닷물을 퍼다 염막에서 불을 때서 소금을 구우면 장작과 시간이 절약된다. 바닷물을 그냥 끊여서 만드는 것과 비교하면 엄청나게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인 소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최남선은 유천리의 소금 만드는 곳을 지나며 그 모습이 “야영같이 산재한 염막(鹽幕)”이라 했다. 군대가 야영하기 위해 들판에 쳐놓은 수많은 천막처럼 당시 유천리 해안가에 엄청나게 많은 염막이 있었다. 이는 줄포만의 맞은편에 있는 고창 검당리의 갯벌도 마찬가지였다.
△ 사라진 검당마을
1872년에 제작한 무장현지도를 보면 선운산 너머 서쪽 바닷가에 심원면 검당리가 자리해 있다. 그런데 오늘날 심원면의 마을이름에 ‘검단’이나 ‘검당’이란 이름 의 마을은 존재하지 않는다. 어찌 된 일일까.
이는 1899년(고종 36)에 있었던 천재지변과 관련이 있다. 1899년 1월, 엄청난 해일이 서해안을 덮쳤다. 아마 서해바다에서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해 쓰나미가 밀려왔던 것 같다. 1899년 1월 17일자 황성신문은 ‘서울 지진’이라 하여 “그저께 오후 9시에 땅이 크게 진동하여 집이 흔들리고 집안에 있는 사람이 편히 앉아있지 못하고 강의 얼음이 크게 갈라져, 강을 건너지 못하게 되었다”고 보도하고 있다. 서해에서 일어난 지진이 서울에까지 크게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이때 서해안에 몰아친 해일로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충청남도의 피해가 컸다. 이 해일로 바닷가에서 소금을 구워 생업을 이어가던 심원면의 몇 개 마을이 사라졌다. 검당마을도 폐허로 변해 사라졌다. 포구와 염장이 사라졌고,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겨우 목숨을 건진 사람들이 검당마을 뒤쪽 사등마을에 자리를 잡았다.
△ 천일염에 밀려 사라진 자염
자염은 짠맛이 덜하고 미네랄이 풍부해서 영양가가 높은 천연소금이다. 이렇게 품질이 뛰어난 소금임에도 값싼 소금의 등장에 설자리를 잃었다. 천일염이라는 새로운 소금제조법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천일염은 염전에 바닷물을 끌어들여 바람과 햇볕의 힘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얻는 소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07년 인천에 만들어진 ‘주안염전’에서 최초로 천일염을 생산했다. 이 염전은 일본인이 조성했다. 일본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바닷물을 끓여서 소금을 만들다가 1895년 청일전쟁에서 승리해 할양받은 대만에 가보니 염전에서 천일염을 생산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천일염 제조법을 습득한 일본이 조선병합을 앞두고 주안염전을 만들었다. 값비싼 자염시장을 잠식하기 위한 포석이었다.
한일병탄 이후 자염의 생산 상황은 해가 갈수록 악화됐다. 조선총독부와 결탁한 일본인들이 서해안 갯벌을 간척해서 대규모로 염전을 조성했다. 간척지에서 쏟아지는 천일염 때문에 자염은 경쟁할 수 없었다. 1950년대에 이르러 자염은 경쟁력을 상실하고 맥이 완전히 끊어졌다.
△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검당 앞바다
2010년 2월 1일, 람사르협회에서는 고창․부안 갯벌을 람사르습지로 지정했다. 심원 사등마을 앞 바다도 람사르습지에 포함되어 있다. 옛날 자염을 생산하던 곳이 이제는 다양한 생명체를 품는 건강한 습지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곳 갯벌이 람사르습지로 지정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이런 곳에서 전통소금인 자염을 다시 생산할 묘안은 없을까. 미네랄이 풍부하고, 천일염에 비해 짠 맛이 덜하면서 감칠맛이 나는 자염은 현대적인 의미의 고급 식재료이다. 검단선사의 훈훈한 이야기가 서려 있어 더 맛깔날 이곳의 자염이 우리 식탁에 오를 날을 기대해 본다.
손상국 프리랜서 P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