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정과제 명시 안된 ‘전주올림픽’, 지원 방안을

전북특별자치도와 전주시가 ‘2036년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구촌 대축제인 올림픽이 교통 인프라 구축, 관광객 유치,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북 도약의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도 크다. 올림픽은 세계인이 주목하는 지구촌 최대 이벤트다. 유치 경쟁에 당연히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 방안도 필요하다. 게다가 지방도시 연대 모델을 내세운 전주올림픽은 지역 불균형 해소와 지방소멸 위기 대응 차원에서도 주목받는다. 국가 균형발전을 강조한 이재명 정부의 국정철학과도 맞물린다.

2036년 올림픽 유치전은 일개 지방도시의 몸부림이 아니다. 세계를 향한 대한민국의 도전이다. 온 국민이 함께 해야 한다. 지구촌 올림픽 유치 경쟁에서 전주는 곧 대한민국이다. 그런데 이재명 정부가 16일 확정한 123개 국정과제에 전주올림픽 유치는 명시되지 않았다. 106번째 과제 ‘모두가 즐기는 스포츠’의 주요 내용에 ‘국제대회 참가·유치·개최 지원’이라는 포괄적이고 모호한 표현만 겨우 한 줄 담겼다.

물론 이를 전주올림픽 유치 지원으로 확대 해석할 수는 있다. 또 ‘국정과제에는 가급적 지역명을 언급하지 않으려는 정부 방침이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정부가 국정과제와 함께 564개 실천과제를 정한 만큼 올림픽 유치가 공개되지 않은 이 실천과제에 포함됐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궁색하다. 이해할 수 없다. 전주올림픽은 전주·전북의 행사가 아니다. 온 국민이 함께 성원하고 국가의 역량을 총동원해야 하는 국가행사다. 정부와 기업·단체 등 민간이 함께 나서 총력전을 펼쳐도 유치를 장담하기 어렵다. 과거 서울올림픽과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나섰을 때 대한민국 정부와 우리 사회가 어떻게 대응했는지 되돌아볼 일이다.

정부는 2036년 전주올림픽 유치에 대한 국가적 의지를 재차 천명하고, 구체적인 올림픽 유치 지원방안을 내놓아야 한다. 마침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16일 전북도청서 열린 민주당과 전북자치도의 예산정책협의회에서 ‘2036년 전주올림픽이 실현될 수 있도록 민주당에서도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전북도민을 향한 의례적인 립서비스가 아니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