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 글로컬대학30 최종 심사를 앞두고 학교 법인(신동아학원)과 전주대 구성원들의 갈등이 점점 깊어지고 있다.
19일 전주대학교 교직원 등은 '전주대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렸다고 밝혔다.
대학 학장협의회와 교수노동조합, 직원노동조합이 참여한 비대위는 차종순 신동아학원 이사장 퇴진과 신임 총장 선임 절차 중단, 전주대 구성원의 의견이 반영된 새로운 총장 선임 제도 마련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호준 비대위원장(상담심리학과 교수)은 "학교는 학생들을 위해 존재해야 하고, 학생(의사)에 반하는 결정은 어떠한 이유에서도 정당성을 갖기 어렵다"며 "그런데 이사장은 권한을 남용해 학생들의 이익을 침해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조만간 열릴 이사회에 참여해 비대위의 의견을 전달할 예정"이라며 "이번 사태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는 데 힘을 모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주대 총학생회장도 법인의 책임 있는 해명을 요구하며 전날부터 사흘간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최의지 총학생회장은 "학생들의 요구는 단순하다. 왜 이러한 사태에 이르렀는지를 학생들 앞에서 설명해달라는 것"이라며 "글로컬대학 본지정에서 탈락한다면 학교는 그에 상응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앞서 전주대 총학생회는 두차례 성명서를 내고 "이번 사태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며 "법인이 최소한의 의무만을 간신히 지키면서 대학 운영에 대한 최대한의 권리를 내세우는 구조적인 모순이 드러난 셈"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앞서 전주대는 호원대학교와 연합 형태로 글로컬대학을 신청해 본지정 심사를 앞두고 있었다.
하지만 신동아학원은 이사회를 열어 전주대 법인이 호원대와 거버넌스를 구성하고 중요 사항을 심의·의결하기로 한 정관 개정안과 글로컬대학 사업 종료 후 스타센터 일부 공간을 전북도에 기부채납하기로 한 협약 안건을 부결시켰다.
이에 반발한 박진배 총장이 물러나면서 갈등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
박 총장은 지난달 29일 구성원들에게 사의를 표명하는 서한문을 보내 "학교 법인에서 글로컬대학의 필수 요건인 정관 개정을 이사회 의결을 통해 반대했다"며 "대학의 운영 주체인 학교법인이 구성원들이 염원하는 글로컬대학 최종 선정을 스스로 가로막았다"고 비판하며 사의를 표명했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신동아법인은 지난 11일 구성원들에게 서한문을 보내 "정관 개정 안건이 부결된 것은 단순히 이사회의 권한을 지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 대학의 핵심 가치인 '기독교 대학의 정체성'과 충돌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며 "기부채납 역시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일로 글로컬대학 사업 선정이 어려워질 수 있지만, 글로컬대학 사업이 학교의 운명을 결정짓는 유일한 사안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밝은 미래를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