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대] 싸구려 여론조사

소슬바람이 불어오면 가을이 온 것을 알 수 있듯 각 가정이나 개인 휴대폰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벨이 울리면 지방선거가 다가온 것을 안다. 한국 여론조사는 언제부턴가 만능으로 알려졌다. 대통령 후보까지도 여론조사로 뽑기 때문에 여론조사가 일상의 주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과학의 이름으로 포장된 여론조사는 무속인들이 점치는 것과 달리 데이터에 의존하므로 신뢰도를 중시한다. 이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표본수, 조사기법, 문항, 표본오차 등을 객관적으로 만들어야 함에도 꼭 그런식으로 여론조사를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자연히 주문자 입맛대로 결과를 도출하려고 하다보니까 기본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여론조사를 실시, 자의적으로 해석해서 공표해 혹세무민한다는 비판이다.

최근 이름도 없는 매체들이 제대로 된 여론조사를 하지 않고 마구 특정인을 띄워주려고 일방적으로 여론조사 결과를 게재해 여론을 왜곡시키고 있다. 심지어 조사기관과 사전에 짜고 조사일자 등을 알려줘 지지자들로 하여금 답변토록 유도하는 등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는 여론조사가 판치고 있다. 주문자 생산방식(OEM)처럼 조사의뢰자의 구미에 당기게끔 설계해서 그 결과물을 일방적으로 내놓아 신뢰도 저하로 유권자를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일부 정치인들은 비용을 적게 들이려고 자신이 직접 ARS 방식으로 문항을 기계음에 담아 샘플수를 적게해서 마구 돌려 여론조사의 근본 취지를 왜곡시키고 있다.

특히 조사결과를 놓고 1등 위주로 경마식 보도를 하는 바람에 유권자들이 식상해 한다. 선관위에서 원칙적으로 여론조사를 할 때 기본수칙을 제대로 지키도록 계도하지만 제대로 안된 경우가 있다. 사실 여론이란 것은 그 시점에서 다수의 생각을 수치화해서 그 경향을 알아 보는 것인데 마치 절대적인 것으로 착각케 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인지도와 지지도는 분명하게 개념이 다른데도 그것을 같은 개념으로 확대해서 발표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그 같은 이유는 유권자들이 숫자화 해서 발표하는 것을 믿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미 유권자의 머릿속에 여론조사를 어느 정도 신뢰하기 때문에 아니면 말고식으로 홍보라도 하겠다는 식이다.

아무튼 가짜뉴스가 범람하고 판치는 세상에서 너나 할 것없이 여론조사를 맹신하면서 하기 때문에 유권자들이 무척이나 혼란스러워 한다. 그간 선거 때마다 홍보 업체들이 우후죽순격으로 생겨나 돈만 주면 여론조사부터 맞춤형 선거운동까지 해주겠다고 꼬드기는 바람에 여론조사가 더 불신을 산다. 사실 질문항목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편차가 나는 것인데 가장 맨 앞에다가 홍보할 요량으로 자신의 이름을 올려 놓고 그 뻔한 결과를 유권자에게 믿도록 하는 게 여론왜곡이어서 지탄받아야 마땅하다.

매체난립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싸구려 여론조사를 여과없이 유포시키는 것은 정보의 왜곡을 가져오므로 제재를 가해야 한다. 가짜뉴스 때문에 옥석구분이 안되면 선거는 결국 망치게 된다. 유권자들도 여론조사라 해서 여과없이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내용을 잘 살펴봐야 할 때다. 백성일 주필 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