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 새만금 직접 지휘하는 새만금 추진체계 필요"

'출향기업인 대상 투자설명회 및 토론회' 19~20일 개최
토론회서 양기대 전 국회의원 "대통령이 의지갖고 새만금 사업 회의 주재 해야"

양기대 전 국회의원(사진 오른쪽에서 두번째)이 새만금 동문회사 견학 및 전북발전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양 전 의원 제공

전북출신 기업인들이 고향을 찾아 기업을 탐방하고 새만금 사업의 미래를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가 열린 가운데, 대통령이 직접 지휘하고 정부와 지역이 함께하는 강력한 추진체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북특별자치도와 전주고 출신 기업인 모임인 '노송경제인 연합회(회장 김홍규)'는 지난 19일 부안군 변산면 해나루 호텔에서 새만금 사업의 미래를 논의하기 위한 '새만금 동문회사 견학 및 전북발전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이영성 전 한국일보 사장을 좌장으로 구본환 전 인천공항공사 사장, 남민우 다산네트워크 회장,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남원장수임실순창), 양기대 전 국회의원(전 광명시장), 황태규 우석대 교수, 김동열 교수가 패널로 참여해 새만금의 미래를 모색했다.

특히 양 전 의원은 “새만금 사업은 이제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 없이는 도약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대통령의 리더십과 지역의 결집이 맞물릴 때 비로소 골든타임을 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난 30여 년 간 새만금 사업은 컨트롤타워의 부재, 중앙과 지방 간 책임 혼선, 부처·기관·지자체 간 이해관계 충돌, 정권 교체에 따른 우선순위 변화 등으로 숱한 난항을 겪어왔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새만금위원회를 구성하고, 전북도지사가 위원장을 맡는 실행위원회(지자체장·국회의원·새만금청장 등 참여)를 함께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전 의원은 "이 대통령은 최근 주요 현안마다 직접 현장을 찾아 회의를 주재하며 문제를 정리·해결하는 적극적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다"며 "새만금 사업도 대통령 주재 현장회의를 통해 문제를 진단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면, 전북특별자치도와 지자체, 지역 정치권이 함께 힘을 모아 도약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 이강국 전 헌법재판소장, 곽영길 전북도민회 중앙회장(아주경제 회장) 등 각계 인사들도 함께해 새만금 사업의 미래 비전에 대해 공감하고 이야기를 나눴다.

19일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33센터에서 출향기업인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북도 제공 

아울러 이날과 20일 출향 기업인 50여 명은 전북자치도가 추진 중인 새만금 국가산업단지, 수변도시, 농공단지 등 핵심 투자 현장을 견학하며 지역 발전상을 확인하고 전북도로부터 투자 설명을 들었다.

이들은 첫날 △다산 DTS 군산사업장 방문 △새만금 33센터·수변도시·국가산업단지 현장 시찰 △전북 투자환경 설명회 △전북 발전 방향 자유토론 순으로 일정을 진행했다. 이어 20일에는 △참프레(부안 제2농공단지) 방문 △선유도 및 고군산군도 탐방 △군산 근대화거리 이성당 방문 등으로 일정을 마무리했다.

전북도는 이번 설명회가 단순한 투자 유치를 넘어 출향기업인과 지역 간 지속적인 협력 기반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도는 새만금 중심의 RE100 산업단지 조성, 이차전지 핵심소재 공급기지 구축, 국내 최초 피지컬 AI 도입 등 미래 산업 중심지로 변모하고 있는 전북의 청사진을 참여자들에게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