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금융소외’가 해를 지날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점포수 감소와 함께 은행의 기본업무를 담당하는 ATM 또한 급감하면서 노인 등 금융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23일 국민의힘 추경호 국회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지자체별 ATM 설치현황에 따르면 2025년 7월 말 기준 전북지역에 설치된 ATM 숫자는 679개로 5년 전인 2020년 881개에 대비해 202개(-23%) 가량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전주 400개에서 308개(-23%), 익산 146개에서 100개(-31.5%), 군산 146개에서 111개(-24%) 등 주요 도시의 감소폭이 컸다.
특히 고창(7개), 순창(7개), 진안(7개), 임실(5개), 장수(3개) 등 한 지자체의 ATM 기기 숫자가 한 자릿수에 불과한 곳도 다수 조사됐다.
은행별로는 전북은행 ATM 기기의 감소가 가장 컸다. 전북은행은 2020년 기준 319개의 ATM 기기를 도내에서 운영했으나, 2025년 7월 기준 233개로 86개(-26.9%)가 줄었다. 농협의 경우 기존 224개에서 180개로 44개(-19.6%)가 감소했다. 이밖에 국민은행 98개에서 66개, 하나은행 74개에서 70개, 우리은행 54개에서 47개, 신한은행 48개에서 44개, 기업은행 49개에서 33개 등 산업은행(3개)을 제외한 모든 은행이 ATM 기기를 줄였다.
최근 은행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 도내에서 운영 중인 은행 점포 개수는 177개로 5년 전 194곳에 대비해 17곳(8.8%) 가량이 감소했다.
ATM 및 은행 점포가 감소함에 따라 지방 노령층의 ‘금융소외’ 문제가 대두된다. 한국갤럽의 2021년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60세 이상 노년층의 81%는 점포 방문으로만 금융거래를 했다. 은행의 경제성 논리로 ATM 및 은행 점포를 계속해서 줄일 시 지방에 거주하는 노령층의 큰 불편함이 예상된다.
추경호 의원은 “은행지점 축소에 이어 ATM마저 빠르게 사라지면서 금융소외문제가 지역과 계층별로 확대되고 있다”며 “특히 현금사용 비중이 여전히 높은 고령층과 농촌주민들은 생활의 큰 불편을 느끼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은행점포와 ATM기기가 줄어드는 것에 대해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며 "점포 등을 줄였을때 수요자들의 불편함 등에 대해 은행들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닌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은행마다 비용 문제가 있다면 여러 은행들이 연합해 하나의 장소에 ATM이나 점포를 운영하는 등 이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할 필요성도 있다. 도시와 지방의 점포 수를 맞출 수는 없겠지만, 규정을 마련해 최소한의 운영 등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