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맞춤형 악취저감 성과…민원 40% 줄었다

최근 3년간 339개소에 85억 투입…악취 67% 줄어
올해도 16억 투입해 미생물제 보급·탈취탑 설치 지원
혁신도시 협의체 출범…용지면 악취관리지역 지정 논의

완주군 비봉면 악취관리지역 위치도./사진=전북도.

전북특별자치도가 맞춤형 악취저감 사업을 추진한 결과, 주민 생활환경이 눈에 띄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도내 축사와 퇴·액비 제조시설 등 339곳에 총 85억 원을 투입한 결과, 악취 농도는 평균 67%(희석배수 18→6배) 줄었고, 관련 민원은 40%(10→6건) 감소했다. 도는 시설별 특성에 맞춘 저감 대책과 사후 관리, 미생물제 지속 공급이 효과를 높인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도는 올해도 총 16억 4800만 원을 투입해 악취 민원 다발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축사와 퇴·액비 시설 등 162곳에 미생물제를 보급하고 탈취탑 3곳과 악취시료 자동채취장치 7곳 설치를 지원 중이다. 현재 63곳이 완료됐으며 109곳이 추진 중우로, 사업이 연내 마무리되면 주민 체감 성과가 더 커질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규제도 강화됐다. 도는 지난 5월 완주군 비봉면 퇴비화시설 등 5개소를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했다. 해당지역내 사업장은 6개월 내 방지계획을 수립하고 1년 내 저감시설을 설치해야 하며, 배출허용기준도 종전보다 엄격하게 적용된다. 기존 부지경계 기준 15배, 배출구 기준 500배에서 관리지역은 각각 10배, 300배로 강화됐다. 일부 사업장은 설치비 부담을 이유로 반발했지만, 도는 환경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국비 5억 원을 확보하며 규제와 지원을 병행하고 있다.

아울러 혁신도시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적 장치도 마련됐다. 도는 지난 5월 민·관 합동 ‘혁신도시 악취저감 상설협의체’를 출범시켰다. 협의체는 전주·익산·김제·완주 4개 시군과 전문가, 유관기관이 참여해 축사 매입, 계사 정비, 퇴·액비 시설 관리 등 6대 핵심과제를 점검하고 자문 역할을 한다. 오는 10월 열리는 2차 협의체에서는 김제 용지면 일대 악취관리지역 지정 여부가 집중 논의될 예정이다.

지정이 확정되면 잔여 축사 매입이 속도를 내고, 혁신도시 악취 저감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송금현 도 환경산림국장은 “악취저감 사업은 주민 불편을 직접 줄이는 생활밀착형 정책”이라며 “규제와 지원을 함께 추진해 현장 체감도를 높였다. 앞으로도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연속성을 갖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