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예찬] 존재로 살아가는 발랄한 청춘

구나연 작가

엉뚱한 말 같지만, 저는 명품 옷을 입어서 사람들의 눈길을 끄는 게 아니라, 싸구려 옷을 입어도 사람들이 기쁘게 받아 주는 발랄한 청춘이 되고 싶습니다.

저도 누구 못지않게 소유하고 소비하고 싶은 욕망이 강한 젊은이입니다. 돈이 자유라고 외쳐대는 요즘 같은 물질 중심 사회에서는 당연한 일이지요. 그런데 문제는 사회가 우리에게 너무 많이 소유하고 소비하라고 부추긴다는 겁니다. 소유를 통해 사람의 가치를 평가하기 때문일까요? 300만 원짜리 명품 옷을 입은 사람은 300만 원짜리로, 3만 원짜리 싸구려 옷을 입은 사람은 3만 원짜리로 여기는 것처럼요. 값비싼 옷을 입으면 자신의 가치가 높아져 남들에게 더 대접받는다고 생각하는 거지요.

소유로 살아가는 삶에는 한 가지 심각한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내가 소유하는 소유물이 결국엔 나를 소유하게 된다는, 이른바 ‘소유의 소외현상’이지요. 이를테면, 내가 값비싼 명품 옷을 입어서 남들의 눈길을 끈다면, 그건 나의 인품이나 사람됨이 훌륭해서가 아닙니다. 내 몸에 걸친 값비싼 옷 때문이지요. 값비싼 옷을 입지 못하는 순간 곧바로 사람들의 눈길을 끌지 못하게 되고요. 결국 내가 소유한 물건이 나를 드러내는 주체가 되는 겁니다. 나는 내가 가진 물건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객체가 되어 버리고요. 얼마나 슬프고 비참한 일입니까? 나의 존재를 더 풍요롭고 가치 있게 만들기 위해 소유한 ‘물건’에 따라 나의 가치가 결정된다면, 내가 곧 ‘물건’이라는 말이잖아요? 

내가 소유한 물건으로 나의 존재 가치를 드러내려고 하면 할수록 나는 물건의 주인이 아니라 물건에 예속되는 노예가 될 뿐입니다. 나는 물건의 노예가 아니라, 내 삶의 진짜 주인으로 살고 싶습니다. 어떻게? 한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옛날 현인들이 일러주었듯이, 소유를 추구하는 삶에서 존재를 추구하는 삶으로 옮겨가는 겁니다.

존재를 추구하는 삶이란 무엇일까요? 「소유냐 존재냐」의 작가 에리히 프롬이 말했듯이, 소유하려고 갈망하지 않으면서 즐겁게 살아가는 겁니다. 어떻게? 나한테 없는 것, 내 밖에 있는 것들을 좇지 말고, 나한테 있는 것, 내 안에 있는 것들을 최대한 활용해서 세상 사람들과 ‘하나 되는’ 삶을 누리는 겁니다. 제가 참여하는 공부 모임의 선생님께서 지금까지 쌓아온 지식과 지혜를 회원들에게 나눠 주시는 활동이 좋은 본보기이지요. 공부 모임 선생님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일로, 자신의 존재를 마음껏 드러내면서 공부 모임 회원들과 하나 되는 삶을 즐기십니다. 회원들은 배워서 성장하는 기쁨을 맛보고, 선생님께서는 지식과 지혜를 나눠줄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하는 기쁨을 통해 우리는 모두 하나 되는 활동을 즐깁니다.

공부 모임의 막내인 저도 선생님을 본받아 존재를 추구하는 삶을 살고 싶습니다. 명품 옷을 걸쳐서 사람들의 눈길을 끄는 게 아니라, 싸구려 옷을 걸쳐도 살아가는 모습이 멋지다는 소리를 듣는 충만한 삶 말입니다. 저는 아직 병아리 작가지만, 좋은 글을 읽고, 쓰고, 나누는 일로 저의 존재 가치를 빛내고 싶습니다. 저를 만나는 사람들에게 좋은 글과 충만한 대화로 살아있는 기쁨을 나누는 삶을 살고 싶고요. 단 한 번뿐인 삶을 없어도 되는 것들의 노예가 아니라, 제 삶의 진짜 주인으로 살고 싶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도 마르크스의 말을 큰소리로 읊어 봅니다.

“당신의 존재가 희미해질수록, 당신의 삶을 적게 표현할수록, 그만큼 당신은 더 소유하게 되고, 당신의 생명은 더 소외된다.”

구나연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