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 지역균형발전 등 양국 공통의 문제해결에 '뜻 모아'

"저출산·고령화·자살, 농업 등 5대 분야 함께 논의해 해결책 모색"
정상회담 후 공동발표문…"당국 간 협의 지속 실시"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부산 누리마루 APEC 하우스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30일 부산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지역 균형발전과 저출산·고령화 등 양국 공통의 사회문제 해결에 뜻을 모았다.

이 대통령은 이날 부산 누리마루 APEC 하우스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한국과 일본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슷한 과제를 안고 있다"며 "그중 하나가 수도권 집중 문제이고, 총리께서 각별히 지역균형발전, 지방 발전에 관심이 높으신데 그 점은 저와도 너무나 똑 닮아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사회문제에서부터 경제문제를 넘어서, 안보 문제,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정서적 교감도 함께하는 아주 가까운 한일관계가 만들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이시바 총리는 부산 초대에 감사를 표하면서 "인구 감소, 저출산·고령화, 수도권 집중, 그리고 농업, 농수산물의 낮은 자급률, 그리고 에너지의 낮은 자급률 등등 공통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로 지혜와 경험을 공유하면서 양국 관계를 만들낼 수 있으면 좋겠다"고 화답했다.

양 정상은 회담을 마친 뒤 '한일 공통 사회문제 대응과 관련된 당국 간 협의체 운용 방안'이라는 제목의 공동발표문을 냈다.

양 정상은 지난 8월 23일 이 대통령의 방일로 성사된 회담에서 '한일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했으며, 이날 회담에서는 이에 따른 구체적 운용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협의체는 앞으로 △저출산·고령화 △국토균형성장 △농업  △방재 △자살대책 등 5대 분야에 관해 양국 관계부처가 주도하는 당국 간 협의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는 "한일 양 정부는 양국 외교당국 간 양자 협의 기회를 활용해 협의체 전반을 총괄하기 위한 협의를 정기적으로 진행한다"며 "당국 간 협의체를 통해 각 분야에서 양국 관계자 간 의사소통 기회를 확대하고 한일 간 공통 사회문제에 관한 다층적인 연계와 협력 강화를 위해 대응한다"고 발표했다.